북한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기습 살포에 대해 힐난했다.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난 4월 25~29일 사이 강원도와 경기도 일대 비무장지대(DMZ) 인접 지역에서 대북전단 50만 장, 소책자 500권, 미화 1달러 지폐 5천 장을 북한으로 날려 보냈다고 밝혔다. 지난 3월부터 시행된 '대북전단금지법' 발효 이후 대북전단을 살포했다고 밝힌 첫 단체다.
해당 법에 따르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단 살포, 대북 확성기 방송 등 남북합의서 위반 행위를 할 경우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전단 살포를 '원천봉쇄'한다는 점에서 북한 사회의 자유화, 민주화를 목표로 하는 대북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법이기도 하다.
김여정은 2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도 이제는 이대로 두고 볼 수만은 없다. 남쪽에서 벌어지는 쓰레기들의 준동을 우리 국가에 대한 심각한 도발로 간주하면서 그에 상응한 행동을 검토해볼 것"이라고 위협했다.
격분한 김여정 "쓰레기들의 준동, 우리에 대한 심각한 도발"
김여정은 "남조선 당국은 탈북자 놈들의 무분별한 망동을 또 다시 방치해두고 저지시키지 않았다"면서 "우리가 어떤 결심과 행동을 하든 그로 인한 후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더러운 쓰레기들에 대한 통제를 바로 하지 않은 남조선 당국이 지게 될 것"이라고 협박했다.
김여정은 "우리는 이미 쓰레기 같은 것들의 망동을 묵인한 남조선 당국의 그릇된 처사가 북남관계에 미칠 후과에 대하여 엄중히 경고한 바 있다"고 했다.
김여정은 작년 6월에도 4일과 13일 두 차례에 걸쳐 대북 전단 살포를 힐난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우리나라 정부의 조처를 요구하며 남북공동연락소 폐쇄와 대남 군사행동까지 시사하는 담화를 발표했다. 북한은 이후 사흘 만에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고 문재인 대통령을 조롱하는 등 노골적인 대남 도발을 가속화했다.
통일부 "北 한반도 긴장 조성 행위 반대"
한편 통일부는 이날 김여정의 협박성 담화에 대해 "북한을 포함한 어떤 누구도 한반도에서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에 대해 반대"한다며 "정부는 우리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남북간 합의 이행 및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대북전단 살포 문제와 관련해서는 경찰이 전담팀을 구성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남북관계발전법 개정 법률(대북전단금지법)이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 보호를 위한 취지에 부합되게 확실히 이행되어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단체 "전단 금지는 가해자(北) 편드는 적반하장"
이민복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본부 대북풍선단장은 작년 12월 28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남한은 인터넷 최선진국으로서 전단 효과가 제로(0)이지만, 북한은 정반대이기 때문에 전단 살포 중단에 대한 남북 합의는 인터넷을 허용하지 않는 북한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장은 "정부·여당이 강조하는 남북합의서는 정부 간 약속이지 민간까지 약속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민간까지 정부의 약속을 지키라고 하는 것은 (북한 같은) 독재국가에서나 가능한 일"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 단장은 "(대북전단금지법은) 피해자 편이 아니라 가해자 편을 드는 ‘적반하장’의 논리다. 표현의 자유를 표방하는 자국민의 행위를 보호하는 것이 국가이지, 이를 군사적으로 공격하겠다는 북한 편을 든다는 것이 말이 되냐"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