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새 당 대표에 5선 중진 송영길 의원이 당선됐다. 신임 대표로 선출된 송 의원은 내년 3월 열리는 차기 대선 승리를 목표로 경선 관리 등 중임을 맡게 됐다.
송 의원은 지난 2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개최된 전국대의원대회 당 대표 경선에서 35.60%를 득표, 1위로 뽑혔다. 함께 경쟁했던 홍영표 후보는 35.01%로 2위를, 우원식 후보는 29.38%로 3위를 했다. 특히 홍 후보는 0.59% 차로 석패(惜敗)했다.
이날 경선은 대의원(45%)·권리당원(40%) 투표와 국민(10%)·일반 당원(5%) 여론조사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송 의원은 대의원(34.97%), 권리당원(35.95%), 국민(34.70%), 일반 당원(40.83%)에서 고른 지지를 받았으나, 대의원·권리당원 투표에서 홍 후보와 접전을 벌이기도 했다. 대의원 투표에서는 송 의원의 득표율이(34.97%) 홍 후보(33.47%)보다 높았지만,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홍 후보(36.62%)가 송 의원(35.95%)을 앞지르는 결과가 나왔다.
이날 당 대표 경선은 근소한 차이지만 친문(親文) 색채가 강한 홍 후보보다 비교적 계파색이 옅은 송 신임 대표가 당선됐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당초 친문 강성으로 분류되는 윤호중 의원이 원내대표에 선출되면서 당 대표 역시 친문 계파가 장악할 것이라는 예견이 짙었다. 그러나 대선 국면에서 선명성이 짙은 지도부보다 안정적인 '관리형 지도부'를 바라는 당원들의 선택으로 송 의원이 당선, 새 지도부 진용에 일종의 균형을 맞췄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송 신임 대표가 낙승(樂勝)이 아닌 신승(辛勝)을 거뒀다는 점, 최고위원에 김용민(초선), 백혜련(재선) 등 친문 강성으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당선됐다는 점, 친문 중진인 윤호중 의원이 원내대표로서 실권을 쥘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여전히 계파 갈등 요소가 잠재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이번 경선 과정에서 친문 지지자들의 '문자 폭탄' 논란이 부각된 점을 볼 때, 차기 대권 경쟁 구도에서 '문팬'들의 영향력에 새 지도부가 휘둘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송 신임 대표는 이날 수락 연설에서 "지금은 승리를 향한 변화를 위해 주저 없이 전진해야 할 때"라며 "열정, 헌신, 지혜를 가진 모든 분을 하나로 모아 원-팀을 만들겠다. 대한민국의 강한 회복과 도약을 위해 앞서가겠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새로 선출된 강병원, 김용민, 전혜숙, 백혜련, 김영배 최고위원과 함께 우리 당 174명의 국회의원과 소통하겠다"며 "전국의 당원, 대의원들과 카톡 메신저를 통해 직접 소통하며 의견을 수렴해 가겠다. 당내 민주주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제시한 5가지 핵심 과제 부동산, 백신, 반도체, 기후변화, 한반도 평화번영의 실마리 찾기에 집중하겠다"며 "우리 당의 자랑스러운 대선주자들과 소통하고 대선 경선을 공정하게 관리하겠다. 우리 함께 제4기 민주 정부를 여는 311일의 대장정에서 승리하자"고 밝혔다.
송 대표는 2016년, 2018년 당권 도전을 거쳐 삼수 끝에 이번 경선에서 당선됐다. 1963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난 그는 광주 대동고, 연세대 경영학과, 한국방송통신대 중어중문학·일본학과를 졸업했다. 16·17·18·20·21대 국회에 입성한 5선 중진으로 열린우리당 사무총장, 민주당 수석최고위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을 지냈다. 민선 5기 인천시장, 문재인 정부 러시아 특사,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오랜 의정 경력뿐 아니라 국정과 행정 면에서도 두루 경험을 쌓았다는 평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