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문재인 대통령이 정권의 마지막 검찰총장 후보자로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을 지명했다. 지난 3월 초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사퇴 이후 2개월 여 만이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3일 관련 브리핑을 통해 “김오수 후보자는 국민 인권 보호와 검찰 개혁에 앞장서 왔다. 김 후보자가 적극적 소통으로 검찰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국민이 바라는 검찰로 거듭날 수 있도록 검찰 개혁이라는 시대적 소임을 다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1963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나 광주 대동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1988년 제30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검사가 됐다. 사법연수원 20기로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대검 과학수사부장, 서울북부지검장, 법무연수원장, 법무차관을 지냈다.

김 후보자는 법무차관 재직 당시 박상기·조국·추미애 전 법무장관 모두를 보좌했다. 2019년 ‘조국 사태’ 당시 이성윤 법무부 검찰국장과 함께 대검에 윤 전 총장을 제외한 수사팀을 제의했다가 논란을 사기도 했다. 그해 청와대에 들어가 문 대통령의 검찰 개편안 지시를 받아 적는 사진이 공개되면서 존재감이 알려졌다.

김 후보자는 현 정부 고위직에 여러 번 후보로 거론된 이른바 ‘노미네이트 전문’ 인사이기도 하다. 그가 ‘노미네이트’된 자리는 금융감독원장, 공정거래위원장, 국민권익위원장, 감사원 감사위원 등으로 각기 ‘정권의 요직(要職)’이라 할 만하다. 감사위원의 경우 ‘정치적 중립’ 문제를 내세운 최재형 감사원장의 반대로 무산됐다. 2019년 윤석열 서울지검장이 검찰총장으로 지명될 당시에도 총장 후보에 오른 바 있다.

법조계에선 김 후보자의 총장 지명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현 정부의 검찰 개혁을 마무리할 인사’라는 평가부터 ‘정권 막바지 방탄총장이 될 것’이라는 비판까지 나온다. 특히 총장 최종 후보 4명(김오수·구본선·배성범·조남관) 중 ‘최저 평가’를 받은 김 후보자가 낙점됐다는 점을 들어 일각에서는 ‘코드 인사의 결과’라고 지적한다.

한편 김 후보자는 현재 ‘김학의 전 법무차관 불법 출국금지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검찰 수사선상에 오른 상태다. 최근에는 관련 혐의로 입건돼 수원지검에서 서면 조사를 받기도 했다.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조사를 받는 인사가 ‘검찰 수장(首長)’으로 지명된 셈이다.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은 4일 성명을 내고 “호위무사로 정권의 불법에 연루되고 검찰 수사를 받는 피의자 신분인 사람이 검찰 수장이 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문 대통령의 김 후보자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