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인류 사회에서 ‘코로나19 완전 퇴치’는 불가능하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코로나19를 영원히 극복할 수 있는 ‘집단면역’은 어렵고 앞으로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독감(毒感)처럼 토착화(土着化)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방역 당국도 ‘백신 주기 접종’으로 일상 회복만 할 수 있을 뿐, 우리 사회가 코로나 발병(發病) 이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고 털어놨다. 백신으로 어느 정도 예방은 할 수 있어도 전염은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어 ‘평생 달고 살아야 한다’는 얘기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 감염내과 교수)은 지난 3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구의 70%가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타인에 전파하는 2차 감염을 예방하는 95% 이상의 백신도 아직 없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 위원장은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효과가 95%라는 건 (접종자의)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이지 (타인에) 전파를 예방하는 효과가 아니”라며 “결국 독감처럼 백신을 맞으며 코로나19와 함께 살아야 한다. 국가의 백신 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에서 피해 최소화로,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는 식이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2차 감염, 면역 약화, 변이 바이러스 등이 ‘코로나 존속’의 원인

오 위원장 말에 따르면, ‘면역 약화’ ‘변이 바이러스’ ‘2차 감염 차단 난맥’ ‘높은 백신 접종률 필요’ ‘바이러스가 잠복하는 자연계 숙주의 존재’ 같은 문제로 인해 코로나 완전 종식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실제 영국에서 코로나19 백신 1회 접종 시 ‘2차 감염 예방 효과’를 연구한 결과 예방률은 38~49%에 불과했다. 국내에서도 영국발(發)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집단 감염 사태가 벌어진 바 있다. 국제 과학 학술지 《네이처》 조사 결과, 23개국 과학자 119명 중 89%가 “코로나19의 토착화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 역시 CBS 라디오 지난 2월 10일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코로나19가 종식되는 건 단기간 내에 거의 불가능하다.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를 굉장히 강력하게 2주, 한 달을 해도 코로나는 잦아들지 않고 또 시간이 지나면 지역사회 감염이 재발되기 마련”이라며 “(코로나는) 앞으로 한 2~3년 안에 끝나기 어려울 거라고 생각한다. 변이 바이러스 때문”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질병관리청은 오 위원장 발언에 대해 “집단면역 달성이 어려워 백신 접종이 의미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집단면역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같은 (상태로의) ‘근절’은 어려우며 인플루엔자처럼 관리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 “백신으로 바이러스 퇴치한 건 천연두가 유일”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4일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도 많고 계속 변화하고 있기에 바이러스 퇴치 목표는 애당초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고 목표한 적도 없다. 정부에서 목표로 한 것은 일상생활 회복”이라고 말했다. 

윤 반장은 “집단면역은 목표가 바이러스의 완전 퇴치냐, 일상생활 회복을 목표로 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며 “지금껏 백신을 통해 바이러스 또는 질병을 퇴치한 것은 천연두가 거의 유일하다. 코로나19에 대한 집단면역 달성(목표) 역시 결국은 일상 회복”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번 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집단면역이 형성됐기에 아무런 조치 없이도 백신을 맞지 않아도 되거나 과거 즉, 코로나19 이전 사회로 똑같이 돌아갈 수 있느냐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