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김정식씨 페이스북 캡처

‘북조선의 개’ 등의 정권 비판 문구가 적힌 전단을 살포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고소당한 30대 청년 김정식씨가 문 대통령의 고소 취하에 대해 입장을 내놨다. 지난 4일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의 고소 취하 지시를 전하며 김씨를 겨냥한 듯 “이번 일이 국격과 국민의 명예, 국가의 미래에 악영향을 미치는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성찰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씨는 다음날인 지난 5일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어제 대통령의 ‘모욕죄 고소 철회 지시’에 대한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 브리핑을 언론으로 접하고 답변을 남긴다”며 “(나는) 국민을 적폐·친일·독재 세력과 독립·민주화 세력으로 양분해 나라를 반으로 갈라놓는 듯한 정부와 여당의 행태에 분노했다. (이 때문에 전단을 살포했지만) 개인의 입장에서는 혐오와 조롱으로 느껴지고 심히 모욕적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정부에서 정상적인 이웃 국가의 기업을 ‘극우’ 등의 표현을 빌려 규정짓는 행위는 국격 훼손 및 외교적 마찰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지양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격과 국민의 명예에 해악을 미친 것이 이웃 국가를 적대시하는 발언을 일삼은 대통령인지, 그 내용을 통해 ‘국민 모욕과 국민 분열을 멈추라’는 표현을 한 사람인지에 대하여 숙고해보시기를 바란다”고 충고했다.

김씨는 “국민의 입장에서 남북관계 등 국가의 미래에 미치는 것은 말장난 같은 지지결속용 쇼가 아니다. 대한민국과 우리 국민 개개인이 상대 국가보다 더 큰 경쟁력을 갖고 부강해지는 것임을 인지해 달라”며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손해를 끼칠 수 있는 ‘집단’ 혹은 ‘국가’에 대한 방비는 ‘민족’이나 ‘큰 산봉우리’ 같은 단어에 매몰되지 마시고, 정부 차원에서 더욱 엄중하고 철저히 해주시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는 “앞으로 복잡한 근대사를 진영의 이익을 위해 멋대로 재단하며, 국격과 국민의 명예, 국가의 미래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행위에 대한 성찰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앞서 박 대변인이 전한 대통령 측의 충고를 고스란히 되돌려준 것이다.

김씨는 “(대통령은) 2016년 11월 26일 ‘군대 안 가고, 세금 안 내고, 위장전입하고, 부동산 투기하고, 방산비리하고, 반칙과 특권을 일삼고, 국가권력을 사익 추구 수단으로 삼은, 경제를 망치고 안보를 망쳐 온, 이 거대한 가짜 보수 정치세력을 횃불로 모두 불태워버리자’고 촛불시위대 앞에서 직접 발언했다”며 “이를 귀감 삼아 혹여 스스로 불태워져야 하는 진영의 수장이 되지 않도록 유념하시기를 당부드린다”고 조언했다.

김씨 “文, 노무현과 달리 좀스럽고 조잔해”

김씨는 6일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문제는 나한테 있는 게 아니라 그쪽(청와대)이 먼저 성찰을 했으면 좋겠다. 모욕은 그쪽도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다”며 “한쪽은 순혈이고 한쪽은 ‘귀태’처럼 나누는 자체가 이미 모욕이다. 이번 사안은 비껴가면서 다음번엔 두고 보자라는 뉘앙스처럼 느껴진다”고 소회를 밝혔다.

김씨는 “쿨하지 못하다. 문재인 정부”라며 “모욕인지 아닌지 선을 그을 수 있다는 게 권력인 거 같다. 이전 대통령들은 쥐, 닭으로 매도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은 누드화 합성도 당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건 괜찮고, 이건 틀렸다는 건가. 경찰 조서에서 맨 마지막에 썼던 말이 ‘대통령을 욕하는 것으로 주권자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면 전 기쁜 마음으로 들을 수 있다’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말”이라며 “문 대통령이 ‘노무현의 친구’라는 후광을 많이 받았는데, 노 전 대통령이 국민을 대하는 방식과 달리 (문 대통령은) 좀스럽고 조잔하게 느껴진다”고 일침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