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을 앞두고 여권 잠룡(潛龍)들의 물밑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전직 총리 출신 후보군이 현 정권의 핵심 지지층인 ‘강성 친문(親文) 세력’의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전직 보수정권 대통령들과 야권의 유력 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윤석열 전 총장 등을 배격하면서 일종의 ‘선명성 강화’에 나선 것이다. 여권 잠룡들의 소위 ‘친문 구애(求愛)’ 작전은 진보진영의 핵심 기념일인 오늘 ‘5·18 광주민주화운동 41주년’을 기점으로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전 총리는 지난 16일 오전 민주당 광주시당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올해 초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론을 펼친 것에 대해 사과했다. 이 전 총리는 “대한민국이 미래로 나아가려면 국민 갈등을 완화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전직 대통령 사면론을) 그 방안의 하나로 거론했으나, 국민의 뜻과 촛불의 정신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 잘못을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그 후로 저는 아픈 성찰을 계속했고, 많이 깨우쳤다. 앞으로 국민의 뜻을 살피는 데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정세균 전 총리는 한발 더 나아가 전직 대통령들을 ‘범죄인’으로 칭하며 강성 친문 표심의 결집을 호소했다. 정 전 총리는 같은 날 SNS에 글을 올려 “결코 이명박·박근혜 ‘범죄인 대통령의 시대’로 대한민국을 돌이키지 않겠다”며 “정권 재창출 없이는 완전한 코로나19의 해방도 없다. 정부 비판을 위해 백신 접종의 불안감을 부추기는 국민의힘은 대한민국 방역을 회복 불능으로 빠뜨릴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검찰개혁을 방해하고 무책임한 정부 비난만 일삼는 갈등과 증오의 세력에게 대한민국을 다시 맡길 수 없다”며 “죽음의 4대강 건설로 되돌아갈 수 없다. 세월호의 아픈 통곡을 되풀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 전 총리의 정치적 발언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미스터 스마일’ ‘의회의 신사’로 불리던 과거 온건한 이미지에서 탈피, 완벽한 ‘강성 모드’로 돌입한 모양새다. 이는 자신을 ‘중도파’ ‘온건 보수파’로 보는 진보진영 내 일부의 반감을 불식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여권은 일명 ‘사이다’로 불리는 이재명 경기지사의 ‘기본소득’ 등 과감한 정책 드라이브에 주목하고 있다. 이 지사는 현재 여권의 유력한 대권후보다. 비교적 온건파인 정 전 총리도 자극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그가 자신의 지지율 정체 국면을 타개하고 정치적 정체성 확립을 위해 꺼내든 카드가 바로 ‘노무현 마케팅’과 ‘검찰개혁’이다. 진보진영은 검찰 수사로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일종의 상처와 향수(鄕愁)를 간직하고 있다. 검찰에 대한 원한과 반감의 뿌리이기도 하다. 정 전 총리의 노 전 대통령 언급과 검찰개혁 촉구는 바로 이 점을 공략하고 있다. 돌아선 친노친문(親盧親文)의 표심을 자극, 이념적 선명성을 강화해 여권 대선주자로서의 정통성을 확보하겠다는 심산이다.
정 전 총리는 지난 17일 SNS에서 윤석열 전 총장을 겨냥, “왜 (검찰은) 전직 총장의 친인척 비리는 형식적 수사로 미적거리나. 무슨 이유로 수사기밀과 공소장이 불법적으로 유출된 사건은 즉각 수사하지 않았나”라며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시해한 검찰과 언론, 민주투사를 탄압하던 검찰과 언론, 국가폭력으로 고문받고 살해당한 수많은 민주 영령들 앞에 단 한 번이라도 진솔하게 사죄하고 반성해 본 적 있나”라고 규탄했다. 이어 “광주항쟁 41년이 지났지만 반성하지 않은 무소불위의 특권계급 검찰과 수구언론이 한통속이 돼 ‘그들만의 수구특권층의 나라’를 지키기 위한 국민기만극을 되풀이하고 있다”며 “광주의 정의는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다. 검찰개혁 언론개혁은 광주정신의 시대적 과제”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