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미 백악관 유튜브 캡처

미국 백악관은 21일(현지 시각) 열리는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가 북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1일(한국 시각) '미국의 소리'(VOA)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를 비롯한 역내 안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등 양국 간 다양한 현안들이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라며 "북한 문제가 중심적으로 다뤄질 것이지만 미북 정상회담 가능성은 최우선 의제가 아닐 것"이라는 백악관 측 목소리를 전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 간 단독 정상회담을 하고, 이어 주요 부처 장관 등이 참석하는 확대회담을 갖는다. 두 정상은 회담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또 이번 정상회담에는 6.25전쟁 참전 영웅인 미 육군 소속 랄프 푸켓 예비역 대령에게 명예의 훈장을 수여하는 행사를 연다. 문재인 대통령은 해외 정상으로는 최초로 이 행사에 참여한다. 또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에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이후 회담을 갖는 두 번째 해외 정상이다. 

두 정상은 북한 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안보와 중국 문제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역내 안보전략, 백신 협력을 포함한 코로나 대응 방안과 기후변화, 반도체와 같은 경제산업을 핵심 의제로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바이든 행정부가 새로운 대북정책을 내놓은 지 한 달 이내에 열리는 만남으로 대북 전략에 관해 어떤 논의가 나올지 주목된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정상회담의 중심 의제는 북한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역내 안보 현안 혹은 전략적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한국과의 협력과 관련해,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둔 미국, 일본, 인도, 호주의 안보협의체 '쿼드'에 대해 얘기할 기회도 있겠지만 북한이 이번 정상회담의 중심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사키 대변인은 "그러나 미북 대면 정상회담 가능성은 이번 정상회담의 최우선 의제가 아닐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두 정상이 기후변화, 중국 그리고 경제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쿼드' 참여 문제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핵심 의제로 다뤄질지도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사키 대변인은 "미국이 한국 등 국제사회 다른 나라들과 협력하는 형식은 다양하다"며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앞서 미 정부 고위 당국자는 19일 사전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대북 전략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의할 것이라면서, "상당 부분이 북한의 도전과 한미 양국이 어떻게 (북한과의) 대화에서 함께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는 데 할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이 고위 당국자는 또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전략과 관련해 "목표는 이 과정이 도전적일 것이란 점을 이해하고, 여기에 최대한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일 대북정책 검토 완료를 발표하고, '일괄타결'식 합의나 '전략적 인내'가 아닌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한 세밀하게 조정된 실용적 접근법"임을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정부는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 체제로의 적극 관여를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