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정의연대' 과거 행사 장면 , 맨 왼쪽이 정베드로 대표. 사진=정베드로 대표 제공

제2회 북한정의주간 4일째인 26일 북한정의연대(대표 정베드로)는 문재인 정부의 남북인권 대화와 북한인권 개선 노력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북한정의연대는 "지난 5월 21일 한미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언급하지 않았던 북한인권 개선과 인도적 지원을 함께 공동선언문에 포함시켰다"며 "한미 양국은 이번 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풀겠다는 원칙을 천명하면서도 북한에 대화 재개를 촉구하며 북한과 대화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문 정부가 북한인권 문제에 침묵해왔던 것은 "북측의 최고 존엄을 건드린다는 이유로 대화의 통로가 막힐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기존 북미정상의 싱가폴공동선언과 남북정상의 판문점선언을 존중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등 여러 부분에서 북한의 입장을 고려한 부분이 두드러졌다"며 "즉 두 합의 사항의 이행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 달성에 필수라는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하지만 북핵 문제와 동시에 북한인권 문제를 거론했다 해서 북한이 즉각 호응하고 긍정적인 자세로 대화에 복귀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며 "내부적으로는 대북제재와 코로나 방역 그리고 재해 등 고난의 삼중고를 겪고 있으면서도 자력갱생으로 내부결속을 강화하고 있고, 대남정책에 있어서도 대북전단살포 문제,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여파 등 냉랭한 기류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단체는 "이 시점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역학적으로 대화에 나서기 매우 어려운 시기에 있다 하더라도 한국정부가 북한과의 대화 지연에 안달이 나서 다시 북한인권에 관한 입장을 선회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며 "오히려 이를 계기로 북한과의 대화에서 적극적인 인권 대화를 나누는 노력과 협상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우선 2018년 4월 판문점선언을 발표하기 전에 두 정상이 나눈 대화에서 언급한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인 선교사 석방 문제를 매듭짓고, 동시에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이산가족 상봉과 서신교환 같은 부분부터 우선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사항들을 협의하고 이행해 가는 것이 순서"라며 "문재인 대통령과 한국정부는 지금부터라도 김정은 총비서의 존엄만을 생각하는 대북정책은 지양하고 전체 북조선인민의 존엄과 북한주민의 인권을 전제로 대화하는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촉구했다.

◇ 제2회 북한정의주간 일정

제2회 북한정의주간은 23일 시작돼 29일까지 진행 중에 있다. 23일에는 온라인 체스 토너먼트 자선기금 모금 행사, 25일에는 온라인 기도회가, 26일에는 온라인 기자회견이 열렸다. 

오는 27일 저녁 9시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그들이 보는 동안에'(While They Watched) 온라인 상영회가 열린다. 영화는 구류, 고문, 공개 처형, 대량 학살 등 북한정권에 의해 자행된 반인륜범죄를 다루고 있다. 28일 저녁 9시에는 '북한인권 개선 활동과 전망'이란 주제로 온라인 북한인권 세미나가 열린다. 

행사의 마지막날인 29일 토요일 오후 3시에는 서울 인사동 안국역 6번 출구 인근에서 북한인권 거리 캠페인을 열 예정이다. 행사 기간 내내 중국 정부의 탈북난민 강제송환을 규탄하는 온라인 청원과 가상 달리기 모금 행사도 진행된다.

북한정의연대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1년여 앞둔 2007년 5월 23일 설립됐으며, 당일부터 올림픽 시작일 2008년 8월 8일까지 444일 기간 동안 한국을 비롯한 유럽 15개국 각국 중국대사관 앞에서 탈북난민 강제북송 중지 캠페인을 실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