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5월 19일 정세균 전 국무총리(오른쪽)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서울 종로구 인사동 마루아트센터에서 열린 노무현 서거 12주기 추모전시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사진=조선일보DB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강성 모드’로 돌입했다. 여권 후보 중 지지율 1위를 기록하는 이재명 경기지사의 ‘기본소득론’을 직격(直擊)하고, ‘도쿄올림픽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한 일본에 대해 적나라한 반일(反日) 감정을 드러내는 식이다. 

정가(政家)에서는 이재명 지사가 소위 거침없는 ‘사이다’ 발언으로 득세(得勢)한 것처럼, 정세균 전 총리도 ‘강성 모드’로 여권 내 핵심 세력인 친문(親文) 진영의 표심을 얻으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친문 진영은 차기 대선에서 비문(非文) 인사인 이 지사를 견제할 만한 이른바 ‘제3후보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떠오르는 제3후보로는 정 전 총리를 비롯, 이광재·김두관 의원 등이 거론된다.

정 전 총리는 지난달 29일 충남 지역 시·도의원 간담회에서 이날 일본 정부가 ‘도쿄올림픽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시한 것에 대해 “일본이 좀 고약하고 치사하지 않냐. 우리를 자극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올림픽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라며 “개정이 안 되면 국민 동의를 받아 올림픽을 보이콧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말하기도 부끄럽지만, 우리가 여러 번 대화하자고 신호를 보냈다. 그런데 가장 (인접한) 이웃 국가에 대해서 정상회담도 전혀 안 됐다”며 “독도를 저놈들이 빼앗아 가려고 하는 짓은 절대 용납 못하는 것”이라고 강변했다. 이어 “우리가 (독도를) 빼앗아온 것 같으면 모르겠는데, (일본은) 역사적으로나 사실적으로나 터무니없는 짓을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날에는 본인의 유튜브 채널 ‘정세균TV’에서 이재명 지사의 기본소득론을 비판했다. 정 전 총리는 “기본소득이 정책 대안으로 공론에 부쳐진 것은 이 지사의 공이 크지만, 민주당의 당론이 될 수 없다”며 “현 시점에 필요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렇게 가성비가 낮은 지출은 결국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뿐이다. 모두에 동일한 기본소득을 나눠주면 불평등 상태는 지속된다”고 지적했다.

정 전 총리는 “이 지사는 (기본소득을) 동일하게 나눠주되 과세를 통해 형평을 기하자는 입장이지만, 국민들이 우선 소액이라도 받아보고 효능을 느끼면 증세에 동의할 것이란 믿음은 동화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라며 “이 지사는 복지도 늘리고 기본소득도 도입하자는 입장이지만, 미국 속담에 ‘케이크를 먹기도 하고 갖기도 할 순 없다’는 말이 있다. 완전히 상이한 두 정책을 한꺼번에 할 순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