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영길 민주당 대표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송 대표는 2일 ‘조국 사태 사과’ 등을 주제로 한 ‘민주당 민심 경청 결과 보고회’에서 ‘대국민 보고’를 했다. 사진=조선일보DB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회고록 《조국의 시간》(한길사)이 서점가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책 내용이 정치적 화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여권 일각에서는 차기 대선 관리 차원에서 ‘난감한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다. 회고록을 시작으로 다시금 강성 지지자들 중심으로 ‘조국 열풍’이 불 경우, 2019년 말 이른바 ‘조국 사태’ 당시 현 집권세력이 지적받은 ‘공정 이슈’가 차기 대선 국면에서 재차 화두가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여권 입장으로선 야권에 트집잡힐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조국 이슈’가 세간에 다시 떠올라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그런 와중에 새로 출범한 당 지도부는 결국 ‘조국 손절’을 택했다. 송영길 대표가 ‘조국 사태’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한 것이다. 지난 4.7 재보선 참패 직후 민주당 내 초선 의원들이 ‘조국 반성’을 내세웠다가 당내 친문(親文) 핵심 세력들에게 진압(鎭壓)된 이후, 다시 나온 ‘조국 사과’였다. 송 대표는 2일 ‘조국 사태 사과’ 등을 주제로 한 ‘민주당 민심 경청 결과 보고회’에서 ‘대국민 보고’를 했다. 그는 ‘조국 사태’의 핵심 이슈였던 ‘자녀 입시 문제’를 집중적으로 언급했다. 표현과 맥락은 완곡했으나 사실상 조 전 장관 진영과의 ‘거리 두기’였다. 

송 대표는 “조국 전 장관의 법률적 문제와는 별개로 자녀 입시 관련 문제는 우리 스스로도 돌이켜보고 반성해야 할 문제”라며 “국민과 청년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점을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화운동에 헌신하면서 공정과 정의를 누구보다 크게 외치고 남을 단죄했던 우리들이 과연 자기 문제와 자녀들의 문제에 그런 원칙을 지켜왔는지 통렬하게 반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좋은 대학 나와 좋은 지위, 인맥으로 서로 인턴 시켜주고 품앗이하듯 ‘스펙 쌓기’ 해주는 것은 딱히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런 시스템에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수많은 청년에게 좌절과 실망을 주는 일이었다”고 반성했다.

송 대표는 다만 “조 전 장관 가족에 대한 검찰수사의 기준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가족 비리와 검찰 가족의 비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조 전 장관의 회고록 출간에 대해서는 “일부 언론이 검찰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받아쓰기해 융단 폭격을 해온 것에 대한 반론 요지서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이날 송 대표는 박원순·오거돈 전 시장의 성 비위 사건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그는 “다시 한번 당 대표로서 공식적으로 피해자와 가족,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권력형 성 비위 사건에 단호히 대처하고 피해자를 보호하는 기본적인 조치조차 취하지 않은 무책임함으로 인해, 피해자와 국민 여러분께 너무나도 깊은 상처와 실망을 남긴 점. 두고두고 속죄해도 부족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