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제주평'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하반기 경제 이슈 9가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해외 부문은 ▲글로벌 성장격차 확대 ▲신냉전 시대 도래 ▲테이퍼링 가능성 확대 ▲원자재 슈퍼사이클 논란 ▲생활 속으로 들어온 4차 산업혁명 등 5가지를 선정했다.
연구원은 향후 글로벌 경기 전반에 대한 낙관적인 인식이 우세하지만, 코로나19 방역환경 차이 등에 따라 국가·지역 간 경제성장의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미국과 중국간의 갈등 양상이 더욱 다양화 장기화됨에 따라 미·중 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예상보다 빠른 긴축정책 전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글로벌 자산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것을 우려했다. 최근 원자재 슈퍼사이클 진입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나,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장기 상승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 코로나19로 인해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신기술에서 혁신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기술 적응도도 더욱 빨라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국내 부문은 ▲차별화되는 경기 회복 ▲드러나는 부채경제의 위험성 ▲막 올린 ESG 경영 ▲RENEW 남북경협 등 4가지를 선정했다.
연구원은 최근 국내 경기 회복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으나 소득별, 연령별, 내수·수출산업간 차별화는 심화될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대응 등으로 공공 및 민간 부문 부채가 급증하면서 향후 경제 리스크로 작용할 것을 우려했다.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핵심 화두로 부상하면서 한국에서도 ESG 관련 의무 강화 및 투자가 확대되고 ESG 경영 확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끝으로 남북경협 사업 재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조심스레 제기되는 가운데 평화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호주의, 국제사회의 지지, 국민적 공감대, 경협 제도화, 민간 주체들의 적극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분석 결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첫째 "하반기 경기 반등 지속을 위한 경제 선순환 구조 구축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 재확산 및 경기 흐름을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인 경기 대응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둘째로 "정부 및 민간 부채 증가세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처방안 마련, 금리 인상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 노력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셋째로 "하반기 수출 개선 지속을 위한 정부의 정책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 방지를 위한 국가 간 공조, 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노력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넷째로 "청년층 및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확대하고 노동시장 지원 정책을 강화함으로써 인적 자본 손실을 방지해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한미정상회담의 결과를 잘 활용함은 물론 미국, 북한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협의를 통해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등 기추진 사업 우선 재개에 힘쓰는 한편 단계적 경협 확대를 통해 평화경제 모델의 발전을 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