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0일 국가정보원 창설 60주년을 맞아 국정원 60년의 역사와 활약상, 선진 정보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한 변화 등 총 7회에 걸쳐 보도하고자 한다. 오늘은 그 첫 시간으로 지난 60년 간 국민의 생명과 안전, 국가의 존립과 국익 증진을 위해 활동해 온 국정원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 중앙정보부 창설 (1961 ~ 1980년)
국정원은 1961년 6월 10일 '중앙정보부'(중정)로 창설됐으며, 초대 부장은 김종필 전 총리였다. 같은해 9월에 제정된 첫 부훈은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였다. 김종필 초대 부장은 "응달에서 묵묵히 일하는 걸 몰라줘도, 국정 책임자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데 쓰면 그게 바로 양지를 사는 것"이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1972년 5월 당시 이후락 부장이 평양을 방문하고, 북한 박성철 부수상이 서울을 답방한다. 약 2개월 후에 '7·4남북 공동성명'이 발표된다. 분단 이후 남북이 최초로 통일과 관련해 발표한 성명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이후락 부장이 북한에 파견돼 김일성과 만나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3대 통일 원칙을 제정했다.
◇ 국가안전기획부 (1981 ~ 1998년)
1981년 1월 1일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로 이름이 바뀐다. 안기부는 1986아시안게임과 1988서울올림픽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에 이바지했다.
1987년 11월 KAL 858기 폭파범 김현희 검거, 1990년 10월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관련자 검거, 1992년 10월 남한조선노동당 간첩사건 수사결과 발표, 1996년 7월 필리핀인 위장간첩 검거 등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세력을 막아왔다. 1997년 2월 황장엽 북한노동당 비서 망명을 성공시킨다.
1994년 6월 국회에 정보위원회가 신설된다. 1998년 5월 원훈을 '정보는 국력이다'로 변경하고, 안기부 청사 앞에 원훈석을 설치한다.
◇ 국가정보원 (1999 ~ 2021년 현재)
정치 개입과 인권 탄압 등의 문제로 1999년 1월 21일 현재 이름인 '국가정보원'(국정원)으로 탈바꿈했다. 2000년 7월 오늘날의 3차장제가 신설됐고, 2002년 12월 국가정보대학원을 준공했다. 2004년 2월에는 국가사이버안전센터, 2005년 4월에는 테러정보통합센터가 개소한다.
1999년 9월 민족민주혁명당 간첩사건 수사결과 발표, 2006년 10월 북한 공작조직 연계 '일심회' 간첩사건 관련자 검거, 2010년 4월 황장엽 암살기도 간첩 검거, 2011년 7월 지하당 '왕재산' 간첩사건 수사, 2013년 내란기도 'RO' 사건 관련자 검거 등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에 앞장서고 있다. 국정원은 지난 60년간 총 600여 명의 간첩을 검거했다.
2000년 10월 ASEM(아시아 유럽 정상회의) 서울 정상회의, 2002년 한일 월드컵, 2005년 11월 부산 APEC(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 정상회의, 2010년 11월 G20 서울 정상회의, 2012년 3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등 국제 외교·스포츠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도왔다. 아울러 2000년 6월, 2007년 10월,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도 지원했다.
국정원 출범 후 3차례 원훈이 변경됐다. 2008년 10월 '자유와 진리를 향한 무명의 헌신', 2016년 6월 '소리 없는 헌신, 오직 대한민국 수호와 영광을 위하여'로 바뀌었고, 지난 4일 '국가와 국민을 위한 한없는 충성과 헌신'으로 한번 더 변경됐다.
◇ 국가정보원의 미래
지난해 12월 국가정보원법이 개정되면서, '국내정보' 업무를 폐지하고 '북한·해외 전문기관'으로의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 직무수행 관련 국회 보고 조항도 신설했다. 정보기관의 정치개입 가능성을 줄이고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려는 목적에서의 변화다.
개정된 법에는 '경제방첩', '우주정보', '해외 국민의 안전 보호를 위한 대응' 등 신규 영역이 강화됐다. 지난 4월 28일에는 산업보안한림원(삼성·LG·포스코 등 7대 그룹 42개 기업)과 사이버위협 정보를 공유하기로 하는 등 사이법 위협 정보 제공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2024년에는 대공(對共)수사권을 경찰로 이관한다. 지난해 12월 '국정원-경찰 안보수사협력체'를 발족해 경찰에 해외 정보를 지원하고 대공 수사기법을 전수하는 등 수사권 이동에 따른 안보 공백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 박지원 국정원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국민이 신뢰하시는 그날까지 개혁, 또 개혁해서 세계 제1의 북한·해외 정보 전문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