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 국회 청원 동의'가 10만 명을 돌파해 소관 상임위원회인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될 예정이다. 사진=국회 청원 홈페이지 캡처

9일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 국회 청원 동의가 10만 명을 돌파해 소관 상임위원회인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될 예정이다.

해당 청원은 '국가와 국민의 안보와 안전을 위한 법률을 지켜주시기 바라며, 국가보안법 폐지를 반대한다'는 제목으로 지난달 13일 게시됐다.

청원인은 "국민이 요즘같이 안보에 대해 불안한 적이 없을 정도로 불안하기 짝이 없는 시절을 보내면서 위태로움 속에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며 "수명이 매일매일 줄어드는 것 같다"고 적었다.

이어 "이런 와중에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한 국회 청원 댓글부대를 모집하는 전교조 공지사항을 보게 됐다"며 "참교육을 목적으로 결성된 전교조가 이런 정치적인 단체행동을 한다는 것이 어처구니가 없다"고 했다.

청원인은 "교사 개개인이 정치적 행동을 해도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단체로 댓글부대 모집까지 독려하며, 무슨 이유에서인지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는 국가보안법 폐지에 앞장서고 있다"며 "이런 정치적인 단체의 행동 방향이 교육과 무슨 관계가 있으며, 이런 정신 상태로 국가 교육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겠냐?"고 물었다.

앞서 지난달 10일 '국가보안법 폐지에 관한 청원'도 국회 청원에 올라와 10만 명 동의를 달성했고 지난달 20일 법사위에 회부된 바 있다.

한편, 청와대 국민 청원에도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 청원이 올라와 있다. 9일 오전 9시 30분 기준 5만1300여 명이 동의한 상태다.

청원인은 "최근 전교조 ****에 국가보안법 국회 청원 독려 글이 게시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며 "혜택은 공무원 혜택을 받으면서 좌경화에 치우쳐서 이런 패륜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은 간첩들이라고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북한과 대치 상태에서 국가보안법 폐지 논의는 한국 내 고정간첩이 교육계 정치계 언론 방송계 활동으로 인한 국가파괴 음모인 것이고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20210609_094413.jpg
▲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 청와대 국민 청원이 진행 중이다. 사진=청와대 국민 청원 홈페이지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