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슬을 머금은 거미줄. 사진=조선일보DB

거미줄을 모방한 식물성 소재가 1회용 플라스틱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화학과의 투오마스 놀레스 교수 연구진은 지난 10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거미줄의 구조를 모방해 다양한 1회용 제품에 쓰이는 플라스틱을 대체할 식물성 재료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놀레스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식물성 거미줄 플라스틱은 내구성과 안정성이 기존 플라스틱과 비슷할 뿐 아니라 쉽게 분해되는 환경 친화적 소재이다.  

2018년에 전 세계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쓰레기 3억4000만 톤 가운데 46%가 포장재로, 대부분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는 1회용이었다. 2050년까지 식품 수요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포장재 쓰레기도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미줄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놀레스 교수는 단백질로 구성된 거미줄이 강철보다 질기다는 데 주목했다. 거미줄과 같은 구조를 가진 소재를 개발하면 튼튼하면서도 생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고 본 것이다.

E7AJRQCJD5H6BOQENYSI62E2VY.jpg
▲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거미줄의 단백질 구조를 모방해 1회용 포장재로 쓸 수 있는 식물성 플라스틱을 개발했다. 사진은 식물성 거미줄 플라스틱으로 만든 포장용 필름(왼쪽)과 비닐봉지. 사진=네이처

놀레스 교수는 콩 단백질 폐기물을 이용해 거미줄과 같은 구조의 식물성 소재를 만들었다. 연구진은 "튼튼한 거미줄로 플라스틱을 대체하려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다"며 "하지만 우리는 거미 없이 같은 특성을 구현해 이른바 '식물성 거미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거미줄을 모방한 식물성 플라스틱은 자연에서 생분해되는 장점이 있다. 이전에도 여러 종류의 생분해 플라스틱이 개발됐지만 별도의 재처리 공장에서만 분해할 수 있었다. 이번 플라스틱은 가정에도 쉽게 분해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영국 포츠머스대의 홈 다칼 교수는 "친환경 제조 공정과 지속가능한 재료를 이용해 식물성 플라스틱을 만들어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였다는 점이 이번 연구의 가장 뛰어난 점"이라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거미줄을 모방한 식물성 플라스틱을 제품화하기 위해 삼플라(Xampla)라는 회사를 세웠다. 삼플라는 연말까지 식물성 거미줄 플라스틱으로 만든 세제 포장재, 식품 포장재 등 다양한 1회용 포장재를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0003619945_003_20210614085202260.jpg
▲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삼플라라는 회사를 세워 식물성 거미줄 플라스틱으로 만든 식품, 세제 포장재들을 개발했다. 사진=삼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