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안함 폭침 당시 군 당국이 북한군의 공격 징후를 포착했음에도 적절한 조치에 나서지 않았던 정황을 담은 문건이 15일 공개됐다.
자료를 공개한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에 따르면 해당 문건은 회의 직후 해군 수뇌부가 곧바로 파기를 지시해 지금까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문건은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 일행 부대방문 행사 결과'라는 제목의 한 장짜리 문서이다. 문건에는 천안함 폭침 사건 당시 기무사령관이었던 김종태 전 사령관이 "천안함 사건 발생 며칠 전 사전 징후를 인지하여 국방부·합참에 보고했으나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답한 내용이 적혀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사전 징후라는 것인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수중 침투 관련 징후였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와 있다. 사전 징후가 포착됐다는 것은 북한군이 치밀하게 준비한 뒤 도발했다는 단서가 된다. 동시에 천안함 좌초설 등의 음모론을 부인하는 방증도 된다.
김 전 사령관은 "국방부·합참 등 상급부서에 있는 사람들의 군 기강이 해이해졌다고 본다"며 "이러한 군 기강 해이 사항이 빨리 시정돼야 한다"고도 했다.
김 전 사령관은 "군 지휘부는 침투 징후를 예하부대에 전파도 하지 않았고, 적극적인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합장의장에게 조치를 해주도록 여러 번 요구했으나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예하부대인 함대는 상급부대로부터 사전 징후가 전파되지 않아 아무런 조치를 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김 전 사령관의 발언은 지난 2010년 8월 12일 오후 대통령 직속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위원단이 해군 2함대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나왔다. 점검회의는 천안함 사건 직후인 2010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로 창설됐다. 이후 3개월간 안보 역량 전반, 위기관리 시스템, 국방 개혁 등을 검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