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경없는기자회는 5일 김정은을 포함해 대대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는 국가 지도자 37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사진=국경없는기자회 홈페이지 캡처

국제 언론감시단체인 '국경없는기자회(RSF)'가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을 언론자유를 탄압하는 국가 지도자 37명 중 한 명으로 꼽았다. 

6일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이 단체는 김정은이 헌법에 보장된 언론자유를 짓밟으며 언론을 당과 자신의 선전도구로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경없는기자회는 5일 김정은을 포함해 대대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는 국가 지도자 37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이 단체는 홈페이지에 '언론자유 약탈자'라는 제목과 함께 37명의 지도자 사진을 올리고 각국의 언론탄압 상황을 전했다. 

'언론자유 약탈자' 37명에는 김정은 외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 최고사령관, 뱌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등이 포함됐다. 미국 언론인 '자말 카쇼기' 피살 사건에 연루된 사우디아라비아의 모하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홍콩의 독립언론인 '빈과일보'의 폐간을 가져온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등도 올해 처음 이름을 올렸다. 

국경없는기자회는 김정은을 "감시, 억압, 검열, 선전을 기반으로 하는 전체주의 정권의 최고지도자"로 설명했다. 또 김정은이 "언론자유를 보장한 북한 헌법 제67조를 끊임없이 짓밟으며 언론이 당과 군부, 그리고 자신을 찬양하는 내용을 전달하도록 통제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세계로부터 완전한 고립을 원하는 정권의 욕망 때문에 언론인들은 체포 추방되고 강제노동 수용소로 보내지고 죽임을 당한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또 "북한 방문이 허용되는 소수의 외신기자들은 일반 시민들과 대화가 금지되고 관리들이 매 단계마다 밀착감시하기 때문에 북한은 외신기자들이 가장 적게 방문하는 곳 중 하나가 됐다"고 밝혔다.

이밖에 "북한 주민들은 국영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하는 뉴스만 합법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며 "외부에서 몰래 유입된 정보를 보거나 듣다가 적발되면 강제수용소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다량의 외부 콘텐츠를 수입하다 적발되면 사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 4월 발표된 국경없는기자회의 '2021년 세계 언론자유 지수'에서 평가 대상 180개국 가운데 179위에 올랐다. 지난해에는 이 지수에서 최하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