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찰청이 '신영복체'를 표어에 사용한 것과 관련, 시민단체 '국가보안법 수호 자유연대'가 19일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국가보안법 수호 자유연대는 이날 성명에서 "서울경찰청 비전 표어에 수많은 서예체 중 하필 통일혁명당 신영복의 글씨체를 선정·게시한 것은 북한의 대남 적화공작에 맞서 목숨으로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낸 선배 경찰들의 혼과 국가 정체성을 모독하고 부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통일혁명당은 북한의 공작금을 받아 대한민국의 전복을 꾀하다 1968년 일망타진된 지하당 조직이다. 김종태를 비롯한 주범 5명이 사형을 선고받고 158명이 검거됐다. 통혁당 책임비서였던 고(故) 신영복 전 성공회대 교수는 국보법 위반으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20년을 복역하다 1988년 사상 전향서를 쓰고 출소한 뒤에도 "난 사상을 바꾼다거나 동지를 배신하는 일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감사원은 국가정보원의 원훈석(院訓石)과 서울경찰청의 비전 표어에 간첩 글씨체를 채택한 경위 등에 대한 직무감찰을 즉각 실시해 책임자를 법에 따라 조치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국가정체성 모독 행위를 지지하고 실행하는 자들의 명단과 활동을 기록해 역사적으로 단죄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국정원도 지난달 4일 신영복체로 쓴 새 원훈석을 공개해 규탄 목소리가 나왔었다. 국정원과 경찰이 공안사범의 서체를 원훈·표어에 사용하는 것을 두고 적절성 논란이 일은 것이다.
국가보안법 수호 자유연대에는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한변), 자유민주연구원, 행동하는자유시민, 덕우회, 바른사회시민회의 등 100여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