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대규모 정전사태 '블랙아웃' 위기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 탓"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김도읍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20일 국회에서 열린 원대대책회의에서 "폭염에 산업용 전력수요 증가가 겹치면서 전력 수급에 비상등이 커졌다"며 "전력대란 사태가 재현될 것을 걱정하는 국민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은 전력수급에 문제가 없다고 자신하지만, 정부는 전국 공공기관에 전략 사용이 높은 시간대에 에어컨 가동 중지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는 등 전력 부족 사태에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전력 비상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며 "문재인 정책 실패는 결국 국민의 호주머니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결국 어제(19일) 정부는 정지 중이던 신월성1호기, 신고리4호기, 월성3호기 등 원전 3기의 재가동 계획을 밝혔다. 탈원전 정책 실패를 자인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에게 정중히 사과를 올려야 한다"며 "정책실패는 결국 국민 호주머니를 위협한다"고 했다.
국회 산자위 야당 간사인 이철규 의원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블랙아웃 공포에 빠져들도록 했다"면서 "원전 3기 가동은 '전원'은 '원전'이라는 걸 인정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임승호 국민의힘 대변인 역시 이날 논평에서 "전력수급에 대한 정부의 자신감이 허풍이었음이 드러났다"며 "정부는 탈원전 정책에 대한 고집과 허풍을 중단하라"고 했다.
임 대변인은 "전력예비율 마지노선인 10%대가 무너지고 나서야 정부는 원전 3기를 긴급 가동하기로 했다"며 "별다른 이유 없이 원전을 멈춰두었음을 정부 스스로 시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탈원전 정책은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한 채 국민분열과 불안정한 전력 수급이라는 결과만 가져왔다"며 "문 정부는 정권이 끝나더라도 탈원전 정책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