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헌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이 야권의 대선주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부동산 정책 구상에 대해 호평(好評)했다. 김 본부장은 25일 《주간동아》 인터뷰에서 “윤 전 총장이 자기 명의로 가진 재산은 예금 2억4000만 원이 전부라고 하더라. 수십 년 공직 생활을 한 사람이 부동산 투기하지 않고 급여만 저축했다면 그 정도 재산이 정상이라고 본다”며 “적어도 윤 전 총장은 상당수 고위공직자와 달리 국민이 살 아파트로 투기는 안 한 것이다. 서민을 위한 부동산 정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윤 전 총장에게 ‘왜 대통령이 되려 하느냐’고 먼저 물었다. 그랬더니 ‘공정과 상식이 통하는 나라를 만들고 싶다’는 답이 돌아왔다”며 “그는 ‘(문재인 정권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불로소득을 얻은 이가 많아진 탓에 사회가 불공정해졌다’ ‘젊은이들이 정직하게 땀 흘려 일해 번 돈으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없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대출하거나 투기에 가담해 안타깝다’는 말도 했다”고 전했다.
김 본부장은 ‘뻔한 얘기가 아니었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윤 전 총장이 2005년 경기 파주시 운정지구 투기 의혹을 직접 수사해본 적이 있다고 하더라. 이번 정부 들어 터진 LH(한국토지주택공사) 임직원 투기 사건을 두고 ‘투기 의혹은 전문가가 신속하고 정확히 수사해야 하는데 답답하다’고 말했다”며 “윤 전 총장은 부동산을 둘러싼 투기와 부패를 ‘이권 카르텔’이라는 표현으로 비판했다. 불로소득을 노린 투기 세력과 부패한 관료·공기업 임직원이 만나 거대한 담합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김 본부장은 현재 여야 대권 후보들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이재명 지사는 경기도 집값이 폭등하는데 ‘기본주택’ 구호만 외칠 뿐 제대로 대책을 못 냈다. 이낙연 전 대표는 국무총리 3년, 당대표 1년 동안 부동산 실정에 책임이 있다”며 “추미애 전 장관은 집값 폭등을 두고 박근혜 정부 탓을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야권도 다를 바 없다. 국민의힘은 김종인씨가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아파트 후분양제처럼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놔도 뜨뜻미지근한 반응뿐이었다”며 “문재인 정부를 욕할 뿐 자신들도 투기 과실을 공유한 것 아닌가. 홍준표 의원, 안철수 대표도 지난 대선 때나 지금이나 이렇다 할 부동산 청사진이 안 보인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