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담배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궐련 담배 판매량은 감소했고,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량은 증가했다.
30일 기획재정부(기재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담배 전체 판매량은 17억5000만 갑으로 작년 동기 17억4000만 갑 대비 0.7% 증가했다.
기재부는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 상반기 20억4000만 갑과 비교하면 14.1% 감소해 담뱃세 인상 등 금연 정책의 효과는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담배 판매량 감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해외 여행 급감으로 면세 담배 수요의 국내 시장 흡수 영향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면세 담배 판매량은 2019년 상반기 1억1400만 갑, 2020년 상반기 4000만 갑, 2021년 상반기 3100만 갑으로 지속 하락했다.
코로나19 관련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담배에 대한 선호 변화가 담배 종류별 판매량 변화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궐련 담배는 15억4000만 갑으로 전년 동기 15억5000만 갑 대비 1.0%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에 따른 냄새 민감도 증가가 궐련 수요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는 2억1000만 갑으로 전년 동기 1억8000만 갑 대비 16.2% 증가했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궐련보다 상대적으로 냄새가 적고 담뱃재가 없어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량은 2018년 3억3000만 갑, 2019년 3억6000만 갑, 2020년 3억8000만 갑으로 지속 증가했다.
CSV 전자담배의 판매량은 350포드(담배 캡슐)로, 2019년 정부가 세 차례에 걸쳐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중단을 권고한 후 1년 9개월여만인 올해 6월부터 판매가 사실상 중단됐다. 전년 동기 판매량인 120만 포드와 대비할 때 판매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연초 고형물 전자담배의 판매량은 3만6000 갑이다. 제조 중단으로 현재 유통 재고 물량만 판매되고 있으다. 전년 동기 60만 갑 판매에 대비해 94.0% 감소한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