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방역 체계인 이른바 ‘K방역’을 자찬(自讚)했다. 문 대통령은 2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K방역의 장점이 흔들림 없이 작동되고 고령층 등 고위험군에 대한 백신 접종도 완료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치명률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다행히 우리 방역과 의료 체계는 충분히 신뢰할 만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빠르게 찾아내고, 빠르게 치료하는’ K방역의 우수성은 현장에서 십분 발휘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백신 수급에 불확실성이 있지만 8, 9월 접종을 위한 백신 물량은 차질 없이 도입될 것이며, 국민들께서 더 많이 예약할수록 접종의 속도를 더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9월까지 3600만 명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친다는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목표를 앞당겨, 추석 연휴 전(9월 셋째 주)까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도 인류는 코로나에 대해 모르는 부분이 많다”며 “다만 지금 분명한 것은 백신 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과 백신 접종과 적절한 방역 조치를 병행해 나가야만 코로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이라고 부연했다.
野 의원의 일침 “국민 희생 ‘K방역’ 환상에서 벗어나야... 일상과 공존하는 ‘지속 가능 방역’ 필요”
한편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서울경제》에 기고한 칼럼 ‘코로나19 백신과 지속가능한 방역’에서 “우리는 현재 강화된 거리 두기를 통한 확진자 억제 외에 어떠한 방역 대안도 공개적으로 꺼내기 힘든 상황”이라며 “영국이나 싱가포르 같은 국가들이 확진자 수보다는 사망자와 중환자 발생 비율에 주목하며 봉쇄 조치를 허물고 있는데, 우리의 시선에서는 그야말로 딴 세상일”이라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사회적 피로감이 엄청나게 커졌다. 확진자를 통한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것에만 집중한 나머지 우리나라에서 코로나는 일단 걸리면 큰일 나는 병이 돼버렸다”며 “무엇보다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피해가 너무나도 커졌다. 영업 제한 조치를 감수한 자영업자들은 어둠의 끝이 어디인지 알 수 없는 삶을 살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 의원은 “이 정부의 최종 목표가 (백신의) ‘국산화’였다 하더라도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비해 백신을 선구매하는 조치는 반드시 필요했다. 그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는 것”이라며 “앞으로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 지금까지처럼 확진자 수에만 매달려 기계적으로 일상을 통제하는 방법에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국민의 끝없는 희생하에서만 가능한 ‘K방역’의 환상에서 벗어나 우리의 일상과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방역’의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