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사직 사퇴’ 압박 공세를 받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에 대해 여권의 군소(群小) 대권후보들이 ‘지원 사격’에 나섰다. 정가(政街)에서는 문(文) 정부 초대 총리 출신으로서 ‘친문(親文) 후보’를 표방하고 나선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맞서, 군소 후보들이 이재명 지사를 중심으로 비문계(非文系)로 뭉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낙연 전 대표는 9일 ‘TBS 라디오 –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흔히들 도청(道廳)캠프라는 용어를 많이 쓰고 있다. 그런 이야기는 안 듣게 하는 게 좋다”며 “이재명 경기지사의 지사직 사퇴 자체가 개인의 양심의 문제”라고 말했다. 당 선관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상민 의원도 지난 5일 ‘CBS 라디오 – 한판승부’ 인터뷰에서 “불공정 문제가 아니라 적절성 면에서 (지사직에서) 사퇴했으면 좋겠다”며 “사실 이재명 후보가 지사직을 갖고 있지만, 마음은 콩밭에 가 있지 않으냐. 그럴 땐 딱 직책을 놓고 뛰는 게 적절해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두관, 박용진, 추미애 후보는 이 지사를 옹호하며 ‘지사직 사퇴 압박’이 부당하다고 받아쳤다. 김두관 후보는 지난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사직 사퇴로 10년 고생한 제가 말씀드린다”며 “이 후보께서 지사직을 유지하고 경선을 한 뒤, 후보가 되면 12월 9일까지 사퇴하고 대선 후보로 선출되지 못한다면 도민이 맡겨준 임기를 모두 마치는 것이 순리”라고 적었다. 김 후보는 “중도에 사퇴할 수 있겠지만 도민(道民) 동의 없는 사퇴는 주권자인 도민의 선택을 심부름꾼에 불과한 이 지사가 가로채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박용진 후보도 같은 날 본인 페이스북에 “법적으로 당내 규정에 문제가 아니라면 선출직 사퇴 여부는 경쟁자들이 왈가왈부할 문제가 아니다. 뽑아주신 유권자와의 문제”라며 “경기지사직이 문제라면 국회의원직도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후보는 “그냥 자기 할 말과 할 일에 집중하면 좋겠다. 네거티브 말고 자기 정책과 생각을 드러내면 좋겠다”며 “말싸움 수준으로 가고, 비본질적인 이야기로 흘러가면 구경꾼도 떠나고 국민들 관심도 사라진다”고 말했다.
추미애 후보 또한 다음날 페이스북에 “타당성 여부를 떠나 현직 사퇴가 필요했다면 후보 등록 이전에 결정했어야 할 일”이라며 “어떤 긴급사태가 발생한 것도 아닌데 원칙에도 없는 문제가 이처럼 돌발적으로 제기되는 것은 대단히 부당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추 후보는 “이 후보의 지사직이 선거운동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현직 의원이신 후보들께서도 현직의 이점을 살리시라”며 “여러분의 공약 중에 입법이 필요한 것이 있으면 의원으로서 지금 바로 입법을 추진하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