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25년 노인 인구 1000만 명, 치매환자 100만 명 초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민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보건복지부 주최로 6일 오후 2시 국립중앙의료원 대회의실에서 '치매정책발전협의체' 제1차 회의가 열렸다. 치매정책발전협의체(이하 협의체)는 노인 인구 1000만 명, 치매 환자 100만 명의 초고령사회를 앞둔 상황에서 치매관리정책을 내실화하고, 지역사회 치매환자 돌봄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된 협의체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중이 2000년 339만 명(7.2%)으로 고령화 사회(7% 이상)에 진입했고, 2017년 712만 명(14.2%)으로 고령 사회(14% 이상)가 됐다. 지난해 813만 명(15.7%)이었고, 오는 2025년 1051만 명(20.3%)으로 초고령 사회(20% 이상) 진입이 예상된다. 지난해 86만3000명이었던 65세 이상 치매환자 수는 2025년 107만7000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협의체는 국가 치매관리 패러다임을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관점으로 확장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을 단장으로 중앙치매센터, 학계, 의료계, 수요자(치매환자 가족) 단체, 돌봄·복지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했다.
이번 제1차 회의에서는 ▲치매정책발전협의체 운영방안 ▲치매관리정책의 성과와 한계, 향후 추진방향 ▲치매 관련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논의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9월 치매국가책임제를 선언한 이후, 국가 차원의 치매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치매환자에 대한 의료와 돌봄 지원을 강화해왔다. 전국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고, 치매안심병원 및 치매전담형 요양기관 등 치매 치료·돌봄 인프라를 확충 중이다. 또한 장기요양서비스 대상 및 혜택 확대, 치매 의료·검사비 부담 경감 등을 통해 치매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감소시켰다.
협의체에서는 그간의 성과를 기반으로 ▲치매서비스와 의료-요양-복지서비스 간 연계 ▲수요자 중심 맞춤형 서비스 제공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통한 지역사회 거주 지원 방안 등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며, 하반기 중 정기적으로 협의체를 운영해 향후 치매관리정책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날 고득영 단장(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협의체에서 논의된 내용을 밑거름으로,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