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윤석열 전 검찰총장 대선캠프가 당 지도부와의 대립 구도에 난감한 모양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겨냥한 캠프 관계자발(發) 발언들이 논란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윤 전 총장 캠프 측은 25일 예정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정책 비전 발표회에 참석 의사를 밝히는 등 이 대표 측에 ‘화해의 제스처’를 보인 바 있다. 이 대표 역시 23일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 관리 혼란’을 초래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원로들의 자문을 받아 정홍원 전 국무총리를 경선 선관위원장에 선임하는 등 갈등 수습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문제는 캠프 관계자들의 발언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캠프 총괄부실장을 맡은 신지호 전 의원의 이른바 ‘탄핵 발언’에서부터 《일요신문》의 비대위 추진설 보도, 민영삼 전 특보의 ‘대표 사퇴’ 언급까지 나왔다. 윤 전 총장 자발적 지지 모임인 ‘윤사모’에서는 이 대표 사퇴 촉구 집회까지 추진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동영상 발언’ ‘녹취 파문’ 등으로 수세에 몰렸던 이 대표가 반전의 계기를 얻어 동정 여론을 받는 형국이 됐다.

물론 윤 캠프 측은 관련 논란이 일 때마다 ‘조기 진화(鎭火)’에 나섰다. 윤 전 총장이 신 전 의원의 발언이 ‘부적절했다’며 이 대표에게 직접 유감의 뜻을 전하고, ‘법적 조치’까지 거론하며 비대위설을 적극 부인한 데다, 민 전 특보의 사의를 받아 그를 해촉(解囑)하기까지 했다. ‘이준석 사퇴 집회’를 추진하는 윤사모 측에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반복되는 캠프 관계자들의 발언 논란은 앞으로의 경선 국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 대표와 대선주자 간 지속되는 갈등은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당으로부터 민심이 떠나가게 만든다. 캠프 차원의 구성원 관리 시스템 정비 및 이슈 전담 대응 조직의 출범이 요구되는 이유다.

이에 대해 윤 캠프 공보팀 측은 23일 《조선펍》과의 통화에서 “논란을 방지하기 위해 (캠프) 내부에 TF 등 별도의 조직을 만들지는 않을 것 같다”며 “다만 기존에 해왔던 대로, 현재는 캠프 구성원들끼리 ‘당과의 화합을 해치는 발언들은 삼가자’고 얘기를 나눈 상태”라고 전했다.

‘정홍원 전 총리의 선관위원장 임명 건’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당에서 결정한 것이기 때문에, 그 부분은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날 이 대표의 사과에 대해서는 “정권 교체를 위해서는 당과 후보가 같이 가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서 김병민 윤 캠프 대변인은 “터무니없는 가짜뉴스, 황당무계한 허위보도를 근거로 한 정치공세에 대해서는 대응할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며 “곧 시작될 우리의 대선 경선은 정권 교체를 염원하는 국민의 목소리를 무겁게 받들고, 무도한 정권의 연장을 막아서기 위해 우리 모두 함께 손을 잡고 화합하는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단결된 국민의 힘으로 정권 교체의 길에 모두 함께 나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