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동대문구 한 산부인과 신생아실. 사진=조선일보DB

연간 출생아 수가 27만 2300명으로 사상 처음 20만명대로 떨어진 가운데, 아기 울음 소리를 듣기 어려운 지방자치단체가 급증하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0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22%인 50곳에서 연간 출생아 수가 200명을 넘지 않았다. 이 가운데 출생아 100명 미만인 지방자치단체는 경북 울릉군, 영양군, 군위군 등 17곳으로 지난 2015년 3곳이었던 것과 비교해 5년새 14곳이나 증가했다.

연간 출생아 100명 미만 시군구는 2015년엔 경북 군위군·영양군·울릉군 3곳이었으나 2020년엔 이들 외에 부산 중구, 인천 옹진군, 강원 고성군·양양군, 충북 괴산군·단양군, 충남 청양군, 전북 무주군·장수군, 전남 곡성군·구례군, 경북 청송군, 경남 의령군·산청군이 추가됐다.

이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울릉군의 신생아는 작년에 30명으로 가장 적었고, 영양군(52명), 군위군(59명), 곡성군(68명), 단양군(74명), 괴산군(78명) 등은 80명에도 못 미쳤다. 이들 가운데 괴산군(0.67)과 단양군(0.78) 외엔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국 평균(0.84)을 넘었으나 워낙 가임기 여성 수가 적어 출생아 수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연간 출생아 100명은 넘겼지만 200명 미만인 지자체도 33곳에 달했습니다. 이들 중 강원도 평창군(109명), 충북 보은군(112명), 전남 진도군(110명)·보성군(127명)·강진군(129명), 경북 고령군(100명)·봉화군(108명)·청도군(112명), 경남 남해군(105명)·함양군(105명)· 합천군(107명) 등은 100명 선이 위태롭다.

반면 현 수준의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인 합계출산율 2.1명이 넘는 지자체는 5년 전 4곳이었는데, 지난해엔 전남 영광군이 2.46명으로 유일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시도 가운데 합계출산율은 서울이 0.64명으로 가장 낮았는데 관악구(0.47명), 종로구(0.52명), 광진구(0.53명), 강남구(0.54명), 강북구(0.55명), 마포구(0.59명), 도봉구(0.60명), 용산구(0.63명) 등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극심한 저출산을 기록했다. 부산에서는 중구(0.45명)와 영도구(0.58명)의 출산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국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0.84명으로,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에 이어 3년 연속으로 1명 미만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