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 브리핑. 사진=조선일보DB

정부가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1만8000명 분의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예산을 반영한 데 이어 내년에도 2만 명분의 예산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박찬수 질병관리청 기획재정담당관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단 해외 치료제 개발 상황을 모니터링(점검)하고 제약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담당관은 "올해 2차 추경에 1만8000만명분, 2022년도 예산안에도 2만명분에 해당하는 경구용 치료제 예산이 반영돼 있다"며 "추후 환자 발생 등 상황을 감안해 필요하면 예비비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개발되고 있는 경구용 치료제는 미국에서 임상 3상이 아직 진행 중이고, 미국에서는 6월에 선(先)구매 보도가 있었다"며 "계약 효력은 미국 식약처의 사용승인 등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앞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달 국회에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와 관련해 "선구매 물량 확보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청이 선구매를 추진하는 경구용 치료제는 글로벌 제약사인 MSD가 개발하는 몰누피라비르로 보인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는 현재 미국 제약사 MSD의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 MSD에 따르면 경증의 코로나19 확진자에 몰누피라비르를 하루 2알씩 닷새동안 복용하도록 하자 더이상 바이러스를 배출하지 않았고, 1주일이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이 보급되면 현재 코로나 19 확진자의 격리 기간(14일)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각국에서는 경구용 치료제를 '위드코로나' 도입을 위한 필수 품목으로 꼽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