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이 지난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정부가 코로나19 무증상·경증 환자 '재택 치료'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전국적으로 재택 치료를 확대하기 위해 시도별로 전담 조직을 꾸리고 대상자 확대 및 재택 치료자 건강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기일 통제관은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3500명을 대상으로 재택치료를 진행했다"며 "이달 13일 경기도에 특별생활치료센터가 개소해 재택치료 환자가 고열 등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면 센터에서 관리한 뒤 병원이나 집으로 돌아가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경기도와 강원도, 서울, 인천, 제주 등에서 재택치료를 시행하고 있다"며 "전국적으로 재택치료를 확대하기 위해 시도별로 전담조직을 꾸리고, 대상자 확대, 재택치료자 건강관리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늘 기준 중환자 전담치료 병상은 모두 959병상 중 480병상, 50.1%가 사용이 가능하다"며 "감염병 전담병원은 9733병상 중 3761병상, 생활치료센터도 1만 9513병상 중 8933병상이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무증상 또는 경증이며, 돌봄이 필요한 만 12세 이하 소아 확진자, 소아를 돌봐야 하는 성인 확진자 등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재택치료를 시행 중이다.

무증상·경증이면서 가족·이웃이 접촉할 수 없게 방, 부엌, 화장실 등 생활공간이 분리된 경우에만 가능하다.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무증상 또는 경증이며, 돌봄이 필요한 만 12세 이하 소아 확진자, 소아를 돌봐야 하는 성인 확진자 등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재택치료를 시행 중이다.

무증상·경증이면서 가족·이웃이 접촉할 수 없게 방, 부엌, 화장실 등 생활공간이 분리된 경우에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