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TV조선 캡처

이른바 ‘대장동 논란’의 중심에 선 자산관리업체 화천대유의 대표 이모씨가 20일 고문단으로 영입한 권순일·강찬우·박영수 등 법조계 유력 인사들에게 지급한 급여 수준과 구체적인 영입 이유에 대해 밝혔다. 특히 2015년 당시 성남시장으로 대장동 개발 사업을 추진한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특혜 의혹’ 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화천대유에서 활동한 권순일 전 대법관과 강찬우 전 수원지검장이 이 지사의 ‘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돼 있어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 지사에게 선거법 위반 의혹이 제기될 당시 권 전 대법관은 대법원 판결에서 ‘무죄’ 취지 의견을 냈고, 강 전 지검장은 이 지사가 검찰 수사를 받을 때 변호인으로 활동했다.

이 대표는 이날 공개된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권(순일) 전 대법관과 박(영수) 전 특검은 사회적 크레딧(지위)을 감안해 한 달에 약 1500만 원 정도, 연봉으로 2억 원 정도 드렸고 강(찬우) 전 지검장은 매달 수백만 원으로 기억한다”며 “다들 그에 상응하는 업무를 하셨다. 일 안 하고 월급 받고 그랬던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해당 법조계 인사들이 ‘개발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을 것 같은데 굳이 영입한 이유가 뭔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법조기자로 오래 활동했던 (화천대유) 대주주 김씨와의 인연 때문이다. 김씨가 법조기자로 출입할 때부터 이들과 인연이 오래됐다”며 “친분이 없었다면 이렇게 유명한 분들을 어떻게 영입할 수 있었겠나. 순전히 개인적인 친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답했다.

“법조계 고문단, 부동산 전문가 아니지만 실질적인 법률 자문 많이 해줬다”

이 대표는 “이들이 부동산 전문가는 아니지만 ‘성남의뜰’과 관련한 실질적인 법률 자문을 많이 해주셨다”며 “특히 권 전 대법관님은 대장지구 북측 송전탑 지하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목 있는 대법관 출신을 영입하기로 하면서 모시게 된 것이다. 내가 권 전 대법관 서초동 사무실에도 4번 정도 갔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찬우 전 지검장도 당장 형사고소 사건 관련해 자문받은 기억이 있다. 실질적인 법률자문을 해주셨다”며 “2015년 여름에 합류해서 국정농단 특검 임명 전까지 화천대유에 계셨던 박영수 전 특검은 과거 우리금융지주 이사회 의장을 한 적이 있어서 금융권 사정에 밝다. 프로젝트 파이낸싱 관련해 은행권과 관공서 문화, 그쪽 사람들과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해 조언해주셨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분들이 일을 열심히 한 건 우리 직원들도 잘 알고 있다. 부동산 개발 업체가 법률 자문이나 고문을 두는 건 부동산 업계에서 통상적이다”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권순일 전 대법관과 강찬우 전 지검장은 이재명 지사의 선거법 위반 사건과 인연이 있다. 박영수 전 특검도 여권 인사와 친분이 깊은 법조인으로 분류된다”며 “화천대유가 사업 과정에서 이재명 지사 인맥을 활용하려고 했던 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라고 이 대표에게 물었다. 이 대표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이재명 지사와 친분 있는 법조계 인사 영입? 모두 ‘대주주(김씨)와의 친분’ 때문에 온 것”

“터무니없는 이야기다. 대장동 개발 사업과 관련해 이 지사의 혐의는 이미 1·2심에서 무죄가 나왔고, 대법원에서 무죄로 뒤집힌 건 ‘친형 강제 입원’ 사건이다. 그런데도 권 전 대법관이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대장동 사업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분이 유죄를 무죄로 만들고, 무죄를 유죄로 만들었다는 것인가. 권 전 대법관은 이번 논란으로 지난 17일 고문직을 내려놓겠다는 의사를 표하셨다. 추석 연휴가 끝나고 이달 23일 사표를 수리할 예정이다. 거듭 말하지만, 권 전 대법관 포함해서 다른 분들도 순전히 대주주와의 친분 때문에 온 것이다.”

이 대표는 ‘화천대유 소유주이자 법조기자 출신 김모씨가 이 지사를 인터뷰한 것과 관련해 개발 사업 특혜 의혹을 제기하는 논리’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일각에선 김씨가 이 지사와 인터뷰한 것을 두고 친분이 깊었을 것으로 이야기하는데, 만약 두 사람이 친분이 있었고 돈이 오가는 관계였다면 이 지사가 진즉에 김씨의 대장동 사업을 도와줬을 것”이라며 “김씨는 대장동이 민간 개발로 추진되던 2012~2014년 이미 80억 원가량을 투자했다가 이 지사가 대장동 사업을 공영 개발로 선회하면서 큰 손해를 본 사람이다. 친분이 있었다면 김씨가 이 지사에게 부탁해서 민간 사업으로 계속 진행하도록 했어야 하지 않나”라고 해명했다.

“계약서는 사업 진행 중이라 공개 불가... 감사원 등 수사기관에서 제출하라면 할 것”

그러면서 “무엇보다 김씨는 화천대유의 세부적인 경영에는 일체 관여 안 했다. 일주일에 한 번도 사무실에 오지 않았다”며 “경영은 내가 주도했으며, 나도 이 지사와는 모르는 사이다”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사업과 관련한 특혜 의혹을 해소하려면 화천대유가 성남도시개발공사와 맺은 사업 계약서를 공개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아직 사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안 된다고 하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계획서를 공개하면 여야 정쟁에 우리가 끌려들어가는 것이기도 하다”라며 “감사원이나 수사기관 등에서 위법 여부를 따지기 위해 제출하라고 하면 공개할 것이다. 정치권에선 지엽적인 문제를 빌미 삼아 정쟁의 수단으로 삼으려 할 것으로 보기 때문에 공개가 어렵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이다.

“팩트체크 없이 화천대유가 부도덕하게 사업을 해서 엄청난 수익을 벌었다고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땅 짚고 헤엄치기식’ 사업이란 비판도 하는데, 우리가 모든 사업 리스크를 떠안고 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무원이나 정치인과 결탁했거나 부정 행위 한 것은 하나도 없다. 수사하면 다 밝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