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등 북한 인민군 및 좌익 세력에 의해 희생당한 이들의 진실규명을 위한 제3차 진실규명신청서가 29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과거사위)에 접수됐다.
신청서를 제출한 '대한민국 적대세력에 의한 생명 및 신체 피해 신고센터'(이하 신고센터)에 따르면 3차 신청서에는 대한민국 해방과 건국 과정에서 대한노총 대전시 위원장으로 활동했다는 이유로 대전형무소에 수감된 뒤 인민군 퇴각 시 보복학살 당한 A씨의 사건에 관해 A씨의 조카가 진실규명을 요청한 내용을 담고있다.
이 사건은 대전형무소에 수감 중인 민간인이 다 총살당했으나 유일한 생존자인 장모씨의 증언으로 이 사건을 접수할 수 있게 됐다고 신고센터 측은 밝혔다.
6·25전쟁 당시 국군 장교로 임관, 참전했다가 인민군과 전투 중 사망해 서울 동작 현충원에 안장된 분이 아직까지 국가유공자로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며 친동생이 70여 년만에 진실규명을 요청한 신청서도 접수됐다.

당시 지주였던 부친이 소작 농민과 일꾼들에 의해 지역 좌익세력에 넘겨져 고문과 폭행을 당한 후 후유증으로 사망한 민간인 사건을 포함해 두 건의 고문 후유증에 의한 사건도 있다. 또 지역 좌익세력에 의해 잡혀 내무서(오늘날 경찰서)에서 고초를 겪고 학살당한 민간인 사건도 포함됐다.
초대 전주시장을 맡는 등 해방과 건국 과정에서 애국 활동을 한 이유로 인민위원회 조직원에 붙잡혀 전주교도소로 이송 중 야산에서 총살당한 아버지의 사건을 진실규명 신청한 신청서도 있다.
신고센터는 "대한민국 적대세력에 의해 생명 및 신체 피해를 입은 피해자 유가족들에게 법령 미비라는 미명 하에 그동안 진실규명과 명예회복, 피해보상 등이 이뤄지지 않았음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제부터라도 이에 대한 모든 절차가 성실하고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고센터는 지난 6월 20일 인권단체 물망초 산하에 설치됐으며 8월 18일 10명의 진실규명신청서를 1차 제출, 2차로 지난 1일 7명의 신청서를 과거사위에 접수한 데 이어 29일에 3차로 6명의 신청서를 제출했다. 4차 접수 일정은 오는 10월 20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