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유용(流用)’ 의혹을 받고 있는 윤미향 무소속(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등 야권을 중심으로 ‘의원직 사퇴’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보수 야당이 아닌 진보 성향의 정의당까지 윤 의원의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김연주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5일 논평에서 “국민들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픔을 보듬기 위해 한 푼 두 푼 모은 후원금이 담긴 계좌를 완전히 개인 쌈짓돈처럼 사용한 것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후안무치하다”고 질타했다. 김 부대변인은 “파렴치범에 가까운 공소 내용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끌며 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는 윤 의원이나, 이를 기가 막히게 이용하고 있는 여당은 사퇴와 대오각성을 통해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마땅하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대권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윤 의원이 “만약 (의원직을) 사퇴하지 않는다면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제명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했고, 하태경 의원도 “인간의 탈을 쓰고 어찌 이럴 수 있나. 윤미향이 있어야 할 곳은 국회가 아니라 구치소다”라고 지적했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윤미향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단체인) 정대협과 정의연으로부터 217차례, 1억여 원을 횡령해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공소장 내용이 공개됐다”며 “부적절한 유용 의심 사례가 한두 건이 아니지만, 심지어 윤 의원의 개인계좌로 이체한 기록에 ‘윤미향 대표 종합소득세 납부’라고 쓰인 자료도 확인됐다. 시민단체의 공금(公金)이 대표자의 종합소득세 납부에 쓰여야 할 합당한 이유가 존재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강 대표는 “윤 의원의 공금 횡령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공익을 위해 헌신하는 수많은 시민사회 활동가들에 대한 모욕이다. ‘위안부’ 정의 구현과 피해 할머니 지원에 쓰일 것이라 생각하고 후원금을 보낸 시민들에 대한 배임이자 범죄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윤미향 의원은 ‘위안부’ 활동의 경력을 바탕으로 기대를 받으며 국회의원이 되었다. 그 기대는 이제 산산조각이 났다”며 “윤미향 의원이 의원직을 유지하도록 비호해 온 민주당에 책임을 묻는다. 윤 의원은 더 이상 의원직을 유지해선 안 되고 사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전주혜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윤 의원 공소장 ‘범죄 일람표’에 따르면, 윤 의원은 2011~2020년 후원금 1억37만 원을 217회에 걸쳐 사용한 것으로 나와 있다. 공소장에 따르면, 윤 의원은 홈쇼핑·슈퍼마켓·휴게소 등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후원금을 썼다. 2013년 6월 18일에는 A홈쇼핑(5만2250원), 동년(同年) 6월 20일에는 현대홈쇼핑(4650원) 등에서 정대협 자금을 사용했다. 2015년 1월 8일에는 요가 강사비로 24만 원을 썼다. 다음 달인 2월 5일에도 요가 강사비로 18만 원이 나갔다. 과태료나 소득세도 후원금으로 납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3년 12월 19일 해남 방문 과태료 7만 원, 2016년 4월 속도 위반 교통 과태료 8만 원, 2018년 종합소득세 25만 원을 후원금으로 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모금한 돈을 제 개인 용도로 쓴 것처럼 주장하나 언급한 건들은 행사 경비를 비롯한 공적 업무 또는 복리후생 비용으로써 공금으로 회계 처리한 것이다. 저에 대한 검찰의 공소사실은 엄연히 범죄로 확정되지 않은 것들로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재판을 통해 성실히 소명해 나가고 있다”고 반론을 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