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교과서 속 우리 역사에 대한 왜곡이 심각해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성호 국민의힘 의원실은 22일 외교부와 동북아역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해 지난 2018년 5건에 불과했던 한국사 왜곡 사례는 지난해 12건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자국의 교과서를 검정에서 국정으로 전환한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동안 우리 역사를 왜곡한 사례는 꾸준히 증가해왔고 그중에는 심각한 내용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국정교과서에서 지도상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했거나 발해가 당나라의 신속국(臣屬國)이었다는 내용,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이 아닌 미국과 UN군에 의해 발생했다고 서술한 내용이 발견됐다. 또한 연장성과 진장성 동단을 압록강, 청천강까지 연장한 동북공정의 결과물도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성호 의원실은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의 역사 왜곡이 국정교과서에서 이뤄졌다는 것은 시사점이 있다"며 "중국의 역사 왜곡이 일시적이거나 우발적인 단순 사건이 아닌, 국가 차원의 치밀하게 계획된 역사 침탈 행위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의원실은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국가 차원의 왜곡 행위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는 그동안 중국에는 비공개적 물밑접촉에만 공을 들여왔다"며 "이는 일본 교과서의 역사 왜곡 행위가 있을 때마다 외교부가 직접 대변인 성명을 내 거나 매번 주한일본총괄공사 등을 초치해 공개적인 대응을 해 온 것과는 매우 다르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외교부는 홈페이지에 일본의 역사 왜곡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성명을 현재까지도 지속해서 게재해 왔지만, 중국은 2004년 8월 이후 단 1건도 발표하거나 게재하지 않았다.
중국에 대한 우리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의 원인으로는 한·중 간 역사 왜곡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2004년 8월, 상호 간 문제 해결을 위해 맺은 '한중 외교차관 간 구두양해'가 꼽힌다.
외교부 관계자는 "고대사를 정치 쟁점화하지 않는다는 구두양해 이후 우리의 시정 요구로 왜곡 사항이 상당수 시정된 바 있고 일을 더 키우지 않기 위해 주로 비공개 물밑접촉을 한다"고 말했다.
의원실은 우리 정부의 소극적이고 안일한 대응으로 중국의 역사 왜곡이 퍼져나가 각종 해외 서적에 수록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밝혔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에 따르면, 중국의 동북공정 이후 해외 유명 출판사에서 발행한 세계역사책 40권 중 29권이 만리장성 동쪽 끝을 허베이성 산해관이 아닌 한반도 신의주, 압록강이나 평안북도, 평안남도까지로 서술하고 있다.
이는 중국 당국이 고구려성인 '박작성'을 '호산산성'으로 둔갑해 '만리장성'으로 왜곡한 동북공정의 내용을 해외 서적이 사실로 받아들인 결과라는 분석이다.
지성호 의원은 "상황이 이런데도 중국의 역사 왜곡에 즉각 대응하고 있다는 외교부의 해명은 우리 정부의 대중 외교가 무능하고 무기력하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하는 꼴"이라며 "외교부는 중국 눈치 보기에만 급급해 우리 역사가 중국에 강제로 침탈당하는 시대적 과오를 후세에 남겨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