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신당(新黨) ‘새로운물결’을 창당한 대선주자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제3지대 규합’에 나서고 있다. 자신과 함께 중도진영 패권(覇權)을 다투는 잠룡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에게는 날을 세우면서 진보 성향의 정의당에는 협력의 손길을 내미는 모양새다. 중도진영의 새로운 맹주(盟主)로서 세를 다지는 동시에 진보진영으로 ‘지지층 확장’을 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부총리는 2일 모교(母校)인 서울 성북구 서경대학교 강연에서 “시대 교체가 되려면 정치 교체를 해야 한다. 구(舊) 적폐의 핵심은 정치권이고, 기득권 양당 구조가 흑백논리, 진영논리, 이념으로 ‘적대적 공생 관계’를 유지한 게 지금 정치판”이라며 “지금 정치 구조로 정권 교체가 되든, 정권 연장이 되든 기득권의 연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대 교체의 핵심은 정치판을 바꾸고 정치 세력을 교체하는 것이다. 여(與)든 야(野)든, 안철수 대표든, 자기 스스로가 시대 교체의 대상인 줄 알아야 할 것”이라며 “안 대표는 10년을 정치했지만 그동안 국민께 실망만 안겼다”고 맹폭했다.
김 전 부총리는 “(나는) 이미 여야 모두에 (러브콜을) 수없이 받고 있다. 총선이든 서울시장 선거든, 대선이든, 일반 사람이 보면 거절하기 어려울 정도로 좋은 제의도 받았지만 다 거절했다”며 “단일화 이런 건 생각도 안 하고, 비전과 콘텐츠로 승부할 것”이라고 대선 완주 의지를 밝혔다.
한편 이틀 뒤 정의당 지도부를 예방한 김 전 부총리는 “거대한 양당 구조가 만들어진 상황과 제대로 된 진보와 보수가 있었는지에 대한 안타까움이 있다”며 “기득권 깨기를 위해 뜻을 같이하는 부분이 있으면 (정의당과) 힘을 합치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는 ‘정치의 기본 구조를 개혁해야 한다’는 취지로, “정치를 하며 ‘붕어빵 틀’ 얘기를 해왔다. (기존의) 붕어빵 틀 속에 밀가루 반죽을 새로 넣어봐야 붕어빵 맛이 변하겠냐는 의미”라며 “생각해보니 (故) 노(회찬) 전 의원의 (삼겹살) ‘불판’하고 비슷한 느낌이 들더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여영국 정의당 대표는 “우리 당 심상정 대선후보 역시 일관되게 양당으로 대표되는 기득권 정치 타파를 기치로 걸고 있다”며 “김 전 부총리도 거의 유사한 기조로 창당을 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한다. 의지가 있는 정치세력의 힘을 모아 대선을 돌파해야 한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