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KBS 캡처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주요 국가에서 코로나 방역의 새로운 기조로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최근 ‘제로 코로나’를 선언하며 도시 봉쇄와 입국(入國) 통제를 실시하는 등 강력한 방역 조치를 단행하고 있어 이목을 끈다.

국제금융센터(이하 금융센터)가 지난 5일 발간한 보고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지속 및 시사점〉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어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강도(高强度) ‘제로 코로나’ 정책을 견지하면서 ‘무관용 원칙’으로 방역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 최근 인구 400만 명의 도시인 란저우시(市)는 확진자 6명이 발생함에 따라 도시 전체가 봉쇄됐다. 그 외 주요 도시들도 체육 행사가 취소되고 여행상품 판매가 중단되는 등 강력한 방역 조치가 적용되고 있다. 

상하이 디즈니랜드에는 확진자가 불과 1명밖에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총 관광객 3만 명에게 코로나 PCR 검사를 시행해 일부 관광객이 밤 10시 이후 귀가하는 불편을 겪기도 했다. 시진핑 국가주석 또한 작년 1월 이후 코로나 감염을 염려해 해외 순방 및 외국 정상 초청을 중단해왔다. 최근 로마 G20 정상회담과 글래스고 유엔기후협약도 코로나 방역을 이유로 불참했다.

금융센터는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공산당 체제 선전에 활용하는 가운데, 적어도 내년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 때까지는 현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며 “(실제로) 시 주석은 코로나 봉쇄 성공이 공산당 체제의 우월성 덕분이라고 선전해왔다. 코로나 기원국이라는 외부의 비난에 대응하고 내년 3연임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도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이하 금융센터의 진단 근거 4가지다.

〈1. 뉴욕 외교위원회는 중국이 제로 코로나를 포기할 경우, 현재의 방식이 효과가 없음을 자인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강력한 통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2. 대다수 시민들도 중국의 코로나 봉쇄가 세계 보건에 기여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답하는 등 제로 코로나에 대한 불만 제기는 당분간 어려울 가능성.

3. 금년 일본이 무관중 올림픽을 진행한 것과 달리, 중국은 내년 자국민 관람을 허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그 전까지 확진자 발생을 최소화할 필요.

4.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안감과 낙후 지역의 의료 장비 부족 등으로 코로나가 재확산할 경우 큰 피해가 우려. WHO는 중국산 백신의 예방 효과가 낮다며 60세 이상에 추가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중국은 외국 백신 접종을 금지해 돌파 감염 가능성이 더욱 높은 편.〉

금융센터는 “중국 내 제로 코로나 정책이 장기화되면서 내수 회복 지연 등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정책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차질 심화 등 부정적 영향이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