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최근 발표된 대외정책연구원 「2020~21년 북한의 대외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북한은 무역 봉쇄로 경제난이 가중됐으며 최근에는 종전선언 성사 여부를 놓고 돌파구를 모색하는 단계라는 분석이 나왔다.

보고서는 "2020~21년 북한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국경을 봉쇄하고 대외 협력을 중단하면서 경제난이 가중됐으며, 대외적으로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고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2020~21년 북·중 관계는 ‘전략적 밀월관계 강화’, 북·러 관계는 ‘인도적·외교적 지원’, 북·미 관계는 ‘신행정부 출범에 따른 기조변화’로 요약할 수 있다"며 "북·중 관계의 경우, 불안정한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북·중 간 전략적 밀월관계가 강화돼 양국 상호 간에 외교적 지지 및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코로나19에 따라 실질적으로 인적·물적 교류 협력이 중단된 가운데, 무역을 재개하고자 시도했으나 큰 진전을 거두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북·러 관계의 경우, 러시아는 북한에 식량과 방역 물품을 지원하고 대북 제재 완화를 건의하는 등 인도적·외교적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며 "북·미 관계의 경우, 미국은 ‘조건 없는 대화 재개’를, 북한은 ‘선(先) 적대시 정책 철회, 후(後) 대화’를 고수하며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정체되고 있으나,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며 미국의 대북 정책 기조에 변화가 생겼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북한의 대외 관계는 큰 틀에서 현재의 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코로나19 추세’와 ‘종전선언 성사 여부’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북한이 기존의 방역 기조를 유지해 관광 등의 인적 교류는 재개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제한적으로 북·중 무역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북·중 간 전략적인 친선관계가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전망돼, 이에 대한 견제와 동시에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베이징 올림픽의 평화적 활용 가능성이 축소되고 있으며,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은 정체될 가능성이 높으나, 종전선언 여부에 따라 영변 핵 시설 폐기보다 낮은 수준의 협상(‘Very Small Deal’)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