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일교포 북송사업 62주년을 맞아 유엔 강제실종실무그룹이 북한 정권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는 2014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에서 북송사업 문제가 다뤄진 이후, 유엔에서 처음으로 발표된 책임 규명 요청이다.
14일 유엔 강제실종실무그룹(Working Group on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s)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북한 정권은 다음 3가지 사항을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현재까지 실종된 북송자들의 생사와 행방을 밝힐 것 ▲실질적 수사를 시작하고, 가해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 ▲이산가족들을 위한 교류의 창구를 재정립할 것

재일교포 북송사건은 1959년 12월 14일 재일교포 975명을 태운 북송선이 일본 니가타(新潟)항을 출발하면서 시작됐다. 북한 정권은 재일교포들에게 북한을 경제적 풍요와 기회가 약속된 차별 없는 땅, '지상낙원'으로 선전하며 '귀국'을 종용했다. 그 결과 1959년부터 1984년까지 25년간 186차례에 걸쳐 재일교포 9만 3339명이 북으로 향했다.
북한에서 이들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일본에서의 민족 차별을 뛰어넘는 계급 차별과 인권 침해였다.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경험했다는 이유로 적대 계층으로 분류돼 차별과 착취의 대상이 됐다. 체제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많은 북송 재일교포들이 북한 정권의 자의적 납치와 구금의 대상이 됐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피해자의 생사와 행방을 알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