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표된 국제금융센터 보고서 ‘2022년 중국 경제 전망’에 따르면, 2022년 중국 경제는 기업 규제 및 기저효과 축소로 ‘4%대 후반 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헝다 그룹의 디폴트 상태가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변수(變數)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금년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들은 대내외 수요 호조 및 기저효과 등으로 지난해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물가는 하반기부터 생산자 물가를 중심으로 급등하는 모습”이라며 “1~11월 수출이 내구재(耐久財) 수요 호조 등으로 31.1% 급증했고, 소비 또한 경제 심리 회복 등으로 13.7% 증가했다. 투자는 제조업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부문 위축 등으로 5.2% 증가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생산자 물가는 석탄 수급 차질과 유가(油價) 상승 등으로 10월 역대 최고치인 13.5%를 기록했다”며 “소비자 물가는 아직 안정적이나, 식료품 가격 불안 등으로 2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의 경기 대응 등으로 2022년에도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기업 규제 및 기저효과 축소 등으로 올해에 비해 둔화된 4%대 후반의 성장이 예상된다”며 “(중국)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GDP(국내총생산) 대비 6.8%)을 유지하는 가운데, 적어도 내년 말 당 대회까지는 사회 불평등 해소 등을 위한 ‘공동부유’ 정책을 지속 추진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통화정책의 경우 기준금리 동결 등 신중한 기조 속에 중소기업 등 취약층 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금년 수출이 성장세를 주로 견인한 것과 달리, 수출·소비·투자 등 전 부문에 걸쳐 4~5%대 평탄화된 성장이 예상(소비 5.4%, 수출 5.0%, 투자 4.6%, 생산 4.5%)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헝다 사태로 인한 부동산 시장 위축 여부에 가장 주목하고, 그밖에 주요국과의 통화정책 괴리와 미중(美中) 갈등 등이 중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헝다 그룹이 디폴트 상태에 진입하면서 여타 기업들의 연쇄 파산 우려가 증가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 위축과 이에 따른 정부 재정 악화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시장에서는 내년 미국 금리 3회 인상 등 주요국 긴축을 예상하는 반면, 중국은 경기 둔화 방지에 초점을 두고 있어 미중 금리 격차 축소가 자본 유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며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의 외교적 불참 등 대중 견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중국도 시진핑 3연임 등 국내 정치 상황을 감안해 어느 정도 수준에서 강경 대응을 할지 주목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