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선대위의 김병민 대변인이 23일 발표한 논평 〈‘면피성 뒷북 기구’로 전락한 청와대, 컨트롤타워 부재가 국민을 위기로 내몬 것 아닌가〉에서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 방역 실책을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중대한 재난의 경우 청와대가 컨트롤타워가 아니라고 할 도리가 없다.’ 취임 첫해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 위기관리 체계와 재해재난관리 체계를 전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TF를 구성하라며 선포한 발언”이라며 “하지만 이런 대통령의 말과 달리, 코로나 감염의 중대 위기 앞에서 재난의 컨트롤타워라는 청와대는 위기 대응은커녕, ‘면피성 뒷북 기구’로 전락해버렸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은 오락가락 코로나 대응 실패의 책임을 물어 기모란 방역기획관을 즉각 경질해야 한다. 청와대의 오판으로 정부의 방역 정책이 손바닥 뒤집듯이 바뀐 게 벌써 몇 번째인가”라며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이제라도 전문가 중심의 방역 컨트롤타워 역할에 청와대가 충실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김 대변인은 “병상이 부족해 제때 치료받지 못해 숨진 코로나19 환자가 최근 한 달 사이에 52명에 달한다. 상황이 심각하니 정부가 추가 병상 확보 대책을 내어놓았지만, 실제 운영까지는 아직도 한 달 가까운 시간이 필요하다”며 “등 떠밀리듯 발표한 정부의 대응 방안에도 각종 우려와 문제점이 쏟아졌고, 청와대는 면피성 뒷북 대응인 양 병상 확보 TF 첫 회의를 24일에야 주관한다고 한다”고 꼬집었다.

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는 코로나 위기를 극복할 의지가 있기는 한 것인가. 대체 언제까지 땜질 처방으로 어물쩍 위기를 모면하려 하나”라며 “지난달 KBS 1TV를 통한 ‘국민과의 대화’에서 문 대통령은 ‘확진자 수 증가는 단계적 일상 회복에 들어갈 때 미리 예상했던 수치다. 정부는 5000명 또는 1만 명 정도까지 확진자 수가 늘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대비를 했다’고 호언장담하지 않았던가”라고 일침을 가했다.

김 대변인은 “정확한 예측에 실패했을 뿐 아니라, 상황이 악화한 이후에도 적시 조처를 하지 못한 청와대는 이미 재난의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며 “‘사람이 먼저다’라고 외쳤던 문 대통령이 국민을 위하는 최소한의 마음이라도 남아있다면, 국민 앞에 직접 사과하고 전문가 중심의 위기 대응 체제를 즉각 가동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