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11월 3일 부산 진구 부산시민공원에서 열린 '2021 부산 장노년 일자리 한마당' 행사를 찾은 어르신들이 부스를 둘러 보고 있다. 사진=조선일보DB

최근 발표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 일자리 사업 개선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 일자리 사업은 농촌(農村) 노인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인들이 신체 활동 등으로 일자리 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제반 기회를 넓혀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보고서는 “농촌 노인 가운데 ‘활동적 노화’ 집단의 비중은 과거에 비해 증가해 개선 추세임을 확인했다”며 “다만 그 수준과 증가 폭이 도시(都市) 노인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농촌에는 건강 수준이 열악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태에서 일(활동)에 참여하는 사례가 더 빈번할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농촌의 노인 인구 대비 노인 일자리 사업량은 도시와 유사했으나, 전담 기관 등 수행 인프라는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에 비해 수행 기관당 관할 지역 면적이 넓고 사업 다양성이 떨어졌다”며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보통 수준 이상이지만, 도시 노인에 비해 대체로 떨어졌다. 반면 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은 비율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며 전반적인 개선을 촉구했다.

보고서는 “농촌 노인의 경우,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가 ‘활동적 노화’ 주요 영역 전반(신체 및 정신 건강 증진, 사적 안전망 유지·확대, 경제적 보탬, 자기 유용감 확보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됐다”며 “실제로 노인 일자리 사업은 농촌 노인의 삶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었다. 다만 농촌과 농촌 노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기존의 사업 설계 및 운영 관행은 사업 수행 시 적지 않은 어려움을 발생시켰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활동적 노화의 주요 영역 가운데, 도시 노인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난 건강 영역과 안정성 영역을 중심으로 개선 과제를 우선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사업단 내용을 지역 노인의 건강 관리 및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해야 한다. 공익 활동의 내용에 따른 수당 세분화를 통해, 노인의 참여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신체 활동 기회 보장 및 재정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사업 설계 및 기획 단계에서는 사업량 배정 체계 재고와 시장형 사업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사업 운영 단계에서는 농촌 환경에 적합한 인력 운영을 통한 수행 역량 강화와 농촌 노인의 이동 편의를 위한 차량 운행 제반 지원이 필요하다. 사업 평가 단계에서는 공익 활동의 공익성 강화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어 “기타 개선 과제로 수직적(중앙-현장)·수평적(수행기관-수행기관) 소통 및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농촌 노인 일자리 사업의 협의 기구 도입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