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KBS 캡처

부동산 그룹 헝다의 파산 사태로 경기 둔화가 예상됐던 중국이 수출 호조 및 무역 흑자를 달성해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발표된 국제금융센터의 '중국, 2021년 4분기 GDP 4.0% 증가: 경기둔화 우려 완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3분기 산업 생산은 시안 등 주요 도시 봉쇄 영향으로 5.1%에서 3.9%로 둔화했다. 그러나 지난달 들어 당국의 경기 대응에 힘입어 4.3%를 기록, 전월(3.8%) 대비 개선됐다.

보고서는 "4분기 수출은 전자제품·의약품 등 매출 호조에 힘입어 23.3%의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고 수입도 23.9% 증가했다"며 "무역 흑자는 2507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전력난과 오미크론 등 악재가 4분기에 집중됐으나, 수출 호조와 정부의 경기 대응 등이 성장률 둔화 폭을 제한했다"며 "또한 12월 지급준비율 인하로 1조2000억 위안을 공급하고, 은행 대출 한도를 일부 완화하는 등 정책 지원 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12월 투자가 정부의 경기 대응에 힘입어 전월 대비 2200억 위안 증가하면서 6개월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주가는 상해(+0.6%)와 심천(+1.5%) 모두 성장률이 예상치보다 개선된 데 힘입어 반등했다. 위안화 환율은 6.35위안(0.1% 하락)으로 보합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확장적 재정 정책을 유지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이 일부 해소되면서 소폭의 대출 우대 금리 인하 등 경기 부양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금년 가을 공산당 당 대회까지 '제로 코로나' 정책이 이어지고, 대외 수요도 둔화하겠으나, 중국 정부의 경기 대응으로 5% 초반의 중속 성장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보고서는 "△2월 동계올림픽을 의식한 제로 코로나 정책 강화 △불균형 완화를 위한 부동산 규제 △공동부유 추진 및 기업 규제 등으로 경제 심리 개선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며 "강력한 사교육 규제와 게임 산업 제한으로, 작년 하반기 들어 1만 개 이상의 관련 기업이 파산하면서 고용시장이 작년에 비해 위축될 가능성"까지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