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TV 캡처

알라스테어 모건 전 북한주재 영국 대사가 22일(현지 시각) '미국의 소리(voa)' 인터뷰에서 국제 금융체계에 사이버 공격을 가하는 등 북한의 '불법자금 조달 능력'이 진화했다고 진단했다.

모건 전 대사는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조정관으로 일할 때 보고서를 통해 해상에서의 북한의 제재 회피와, 탄도미사일 및 핵 프로그램 기술/물질 확보를 위한 북한의 지속적인 노력을 확인했다"며 "이는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었다. (특히) 사이버 수단을 통한 불법자금 조달은 진화했다"고 밝혔다.

모건 전 대사는 "사이버 공격은 여러 의도가 있다. (그 중에는) 기술이나 정보를 얻기 위한 고안된 공격이 있는데, 이런 종류가 북한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유엔 안보리 전문가 패널 보고서를 보면, 북한 해커로 추정되는 조직이 유럽의 유명한 방산업체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 불법으로 군사 기술 정보를 탈취하고 동시에 자금을 탈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건 전 대사는 "또한 외국인 중개를 통해 국제 금융체계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며 제재 회피 활동을 벌인다"며 "잠재적인 다양한 공격에 대응할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건 전 대사는 북한 비핵화 문제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와 의무가 국제법적 효력을 갖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안보리는 북한에 탄도미사일 실험을 중단하고 포기할 것과 비핵화를 요구한다"며 "하지만 북한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리고 (지난) 20일 북한의 정치국 회의 결과는 북한이 비핵화 의지가 없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단언했다.

모건 전 대사는 "그렇다고 유엔 회원국들이 그런 (대북 비핵화 촉구) 의지를 버려서는 안 된다"며 "유엔 회원국 전원이 안보리 결의를 엄격히 이행하는 의무를 저버리지 말고, 외교적 관여를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