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내(黨內) 경선에서 석패(惜敗)한 후 대선 정국에서 2선으로 물러나 있던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의 선대본부 합류가 최근 불발됐다. 윤석열 후보 측은 오는 3월 대선과 함께 치러지는 국회의원 재보선과 관련, 홍 의원이 윤 후보와의 독대 자리에서 자신과 가까운 인사들을 '전략 공천'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윤 후보가 이를 반려했고, 이에 반발한 홍 의원이 선대본부 상임고문 합류를 수락하지 않았다는 것. 권영세 선대본부장은 "당의 지도자급 인사라면 대선 국면이라는 이 절체절명의 시기에 마땅히 지도자로서 걸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전략 공천 조건부 합류설'이 정가에 파장을 일으키자, 비난 여론에 직면하게 된 홍 의원은 즉각 반격에 나섰다. 그는 지지자들이 '청년의꿈' 사이트에 올린 글에 직접 단 댓글을 통해 "(윤 후보 주변에) 내시들이 준동한다"며 "누구라도 공천 추천은 할 수 있다. 상처 입는 게 두려워서 말 못하면 홍준표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홍 의원은 "권영세 말대로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들이 준동해 차라리 출당(出黨)이나 시켜주면 맘이 더 편할 것"이라며 "내 발로는 못 나가겠다"고 적기도 했다.
홍 의원은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아무런 이견(異見)도 없었던 두 시간 반 동안의 화기애애한 만찬이었다. 공천 추천 문제는 막바지 가서 1분도 소요되지 않았고, 그외 향후 대선 전략에 많은 것을 논의했던 보람된 만찬이었다"며 "그런데 이튿날 느닷없이 (윤의) 수하들이 나서서, 잠깐 제안했던 합류 조건도 아닌 공천 추천 문제를 꼬투리 잡아 나를 구태 정치인으로 공격했다. 순진한 최재형 원장까지 동원해 나를 비난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른 건 몰라도 합의 결렬의 원인에 대해서는 바로 잡아야 한다. 그런 모함정치를 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윤 후보는 홍 의원과 마찬가지로 '제 갈 길' 가는 모양새다. 그는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누가 뭐라고 말했는데 거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런 건 이제 그만하자"고 당부했다. 이어 한 기자가 '홍준표 의원이 (회동 이후) 불쾌감을 말하고 있는데'라며 질문을 이어가려 하자, 윤 후보는 "그러니까 내가 이야기했잖아요"라고 선을 그어 단호한 모습을 보였다. 이미 틀어진 홍 의원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기보다는, 당장 목전에 놓인 대선 승리를 위해 현장 유세와 공약 발표에 집중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윤 후보는 최근 북한이 후보 사퇴를 촉구하며 맹비난한 것에 "사퇴할 생각 없다. 대한민국 국민 최우선"이라고 페이스북에 적기도 했다.
재보선 공천을 놓고 벌어진 이번 윤 후보와 홍 의원 간의 갈등은 봉합되지 않은 채 각자의 '마이웨이'에 따라 더 갈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YTN 인터뷰에서 "양측에 불신의 강이 여전히 깊이 흐르고 있다"며 "그리고 그 와중에 홍준표 의원은 분명히 저 말(전략 공천)을 함으로써 어떤 빌미나 꼬투리를 제공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결국 그것을 (윤 후보 측이) 밖으로 공개하는 바람에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돼버렸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