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侵攻)이 가시화하면서 유라시아 대륙에 전운(戰雲)이 감돌고 있는 가운데, 정치·경제 방면의 ‘지정학적(地政學的) 리스크’가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가 지난 24일 발표한 〈러시아-우크라이나發 지정학적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양국(兩國)의 안보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러시아의 위협이 현실화될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보고서는 “일각에서는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을 제기한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수출 통제, 노드스트림2 가동 불허, 국제결제시스템(SWIFT) 퇴출 등 서방의 고강도 경제 제재 시 러시아의 경기 위축 및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자원·난민 무기화, 사이버 테러 등)이 본격화하고, 친(親)러 진영(중국·벨라루스·카자흐스탄 등)의 반미(反美) 공조가 강화하는 등 러시아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다방면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미·유럽 등 서방국 간 갈등이 냉전 종식 이후 최고 수준에 달한다”며 “최근 연쇄 회담에도 불구하고 양측의 이견 지속으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러시아는 침공설을 부인하면서도 우크라이나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불허 및 NATO의 동진(東進) 중단 등을 요구, ‘자국 안보 보장’을 병력 철군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서방은 NATO의 개방 정책을 강조하며 우크라이나의 가입은 국가의 주권 문제라고 일축했다. 또한 현 사태를 2014년 크림반도 강제 병합과 유사한 조짐으로 파악하며 경계 태세를 보이고 있다”며 “러시아 입장에서 갈등의 근본 원인은 서방(NATO)의 지속적 확장에 따른 안보 위협이나, ‘경제·정치적 의도’도 내포돼 있다. 서방국 입장에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제국적 부활 시도를 견제할 급소에 해당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우크라이나가 서방 진영에 편입될 경우, 러시아는 서쪽 국경의 안보 완충지대를 상실(우크라 영토에 미사일 배치 시 5~10분 내 모스크바 도달)하게 되고, 흑해 제해권(制海權)도 제약을 받는다”며 “우크라이나는 경제적 활용도(세계 3대 곡창지대 및 10대 철강 수출국)가 높을 뿐만 아니라, 푸틴 대통령의 장기집권 체제 기반 공고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사수(死守)해야 할 지역”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