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TV 캡처

지난 28일 공개된 국제금융센터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정치·경제적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현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위해 국민 단합에 활용하려던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흥행에 실패해 되레 경제 회복을 제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보고서는 "중국은 금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2008년 하계올림픽의 성과를 재현하려고 하지만, 미국 등 주요국의 '외교적 보이콧'과 코로나 확산 등으로 흥행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은 고용 및 인프라 확대 등으로 경제성장률을 0.8%p 이상 높이고 내부 단결을 강화하는 한편, 전 세계에 중국의 도약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며 "그러나 금번 동계올림픽의 경우, 팬데믹 상황인 데다 미국 등이 '신장 인권 유린' 등을 지적하며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하고 중국이 이에 반발하면서 갈등이 고조됐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금번 동계올림픽은 제로 코로나 정책과 관광 수입 감소 등으로 적자 운영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내부 단결 및 대외 교류 등 정치적 측면에서도 역효과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글로벌 기업의 후원 등은 견조할 것이나 △관광 수입 부족 △제로 코로나 조치 △동계 스포츠 시설 구축 등으로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정부 재정 부담도 가중될 우려가 있다"며 "금번 동계올림픽을 시진핑 3연임 등을 위한 국민 단합에 활용하려는 중국 정부의 계획과 달리, 봉쇄 조치 장기화 등으로 내부 불만이 더욱 누적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올림픽 진행 과정에서 강압적인 거리 두기와 함께 언론 통제, 정보 보안 문제 등으로 중국 공산당과 서구 민주진영 간의 마찰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며 "이번 동계올림픽이 2008년 하계올림픽과 달리 흥행에 실패하면서 오히려 중국의 경제 회복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한 미중 갈등과 함께 국제정치·경제 질서 변화의 기폭제로 작용할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은 팬데믹 하에 올림픽의 안전한 개최를 위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경제성장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등 부작용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특히 올림픽 이후에도 인권 문제 등이 부각되고 미중 양국이 주변국에 진영 선택을 강요하는 가운데, 각국의 대응이 차별화되면서 국제질서가 더욱 복잡다기화될 전망"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