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4일 페이스북에 쓴 글 '제2의 북한과 같은 공포 감시 사회'에서 북한처럼 이른바 '감시 사회'로 변질돼가는 나라의 풍조를 비판했다.

황 전 총리는 "한 지인분이 친구로부터 전화를 받았다고 한다. 아무리 봐도 4.15(총선)는 부정선거이고, 이번 대선도 부정의 움직임이 느껴져서 주변에 알리고 싶지만 자기 신분이 드러날까봐 무서워서 못하겠다고 한다"며 "그게 무슨 소리냐고 뭐가 무섭냐고 물으니, 부정선거 이야기했다가 정부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자신과 가족은 물론 사업체까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핍박받고 해코지를 당할까봐 겁이 난다고 한다"고 전했다.

황 전 총리는 "부정선거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으니, 이를 명명백백히 밝히고 공명선거를 치르자는 게 언제부터 우리에게 무섭고 두려운 일이 됐나"라며 "자유민주주의의 주권자인 국민이 선거 제대로 치르자고 옳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왜 문제인가. 부당한 것을 지적하고 바르게 고치자는 것이 남들로부터, 정부로부터 해코지당하고 핍박받아야 할 일인가"라고 일갈했다.

황 전 총리는 "북유럽의 덴마크, 노르웨이에서는 하루 4~5만 명의 확진자가 발생해도 코로나는 중대한 사회적 질병이 아니라며 방역 규제를 해제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정부는 코로나를 이용해 온갖 공포심을 조장하며 국민을 길들이려 하고 있다. 현재의 방역 지침으로도 공원 산책이나 등산 같은 실외 활동의 경우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는데도 불구하고 서로 마스크 안 쓴다고 눈치 주고 삿대질하는 세상이 됐다"고 지적했다.

황 전 총리는 "너도 나도 보이지 않는 붉은 완장을 차버렸다. 벌써 이 나라는 서로 눈치를 보며 사는 상호 감시 사회가 됐다"며 "공산주의식 공포, 감시 사회다. 누군가가 참 좋아하고 애용하는 통치방식이다, 제2의 북한이 임박했다"고 일침을 가했다.

황 전 총리는 "입에 재갈을 물리고 말할 자유를 빼앗는 그들, 아무리 생각해도 '멸공'만이 해답이다"라며 "정권 교체는 필수다"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