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일보DB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6일 서울 강남구 전국개인택시공제조합에서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연합회 및 택시 4개 단체와 정책 협약식을 개최, 택시업계 표심 공략에 나섰다.

이 후보는 “택시들이 실질적으로는 대중교통의 역할을 상당히 수행하면서도 좀 방치된 측면이 있다”며 “완전한 대중교통으로 인정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지만 준 대중교통으로 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현실적으로 완벽하게 버스·지하철처럼 100% 인정할 수는 없지만, 공적 기여를 인정해 합리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준 대중교통으로 인정하고 상응하는 지원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성남에 (시장으로) 있을 때 들었던 가장 큰 민원이 버스전용차선에 택시도 다니게 해 달라는 것”이었다며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택시도 대중교통인데 가능성을 검토해 보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큰 장애가 되지 않으면 막을 필요는 없다”며 “특히 체증이 심한 시간대는 제외한다든지 하는 합리적 방안들이 있다”고 부연했다.

이 후보는 이날 택시 종사자들이 ‘카카오 갑질’ 등으로 주장한 택시 호출 플랫폼에 대해서는 “카카오 플랫폼 갑질은 제가 없애고 싶은 것이다. 전국 단위의 호출 앱을 공공이 책임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플랫폼 회사는 플랫폼만 해야 하는데 요즘 보면 그중 잘 되는 것을 골라서 자기가 직접 한다. 이건 불공정 경쟁”이라며 “택시도 그러고 있더라. 직할 관리 기업들을 (호출)한다는 의심이 있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택시요금 인상 목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지방 광역 정부의 권한이라 가능하긴 한데 고민은 있다. 요금을 올리는 게 일방적으로 유리한가, 고객에게 주는 (장)점은 없냐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며 “모든 택시요금 전체를 어떻게 할 수는 없고, 버스에 준하는 환승제도를 하는 것 정도를 제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