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채널A 캡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반윤(反尹) 진영을 구축하기 위해 제3지대 후보들에게도 러브콜을 보내는 가운데, 최근 보수우파 성향의 조원진 우리공화당 대선후보에게도 연락을 취한 사실이 드러났다.

조 후보를 취재한 《조선일보》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달 24일 오후 조 후보에게 전화를 걸어 "서로 같이 해야 될 부분이 많지 않나. 국민통합 정부에 참여할 수 없나"라고 다당제 통합정부론을 고리로 연대를 모색했다. 이에 조 후보가 반대하자 "정책연대를 하자"고 권하기까지 했다. 이 또한 조 후보의 반대로 무산됐으나, "그러면 (조 후보가 제안한) 정책토론을 하겠다"는 등 연대의 끈을 놓지 않았다.

이 후보의 이 같은 행보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겨냥한 이른바 '친박(親朴) 표심' 잡기로 풀이된다. 조 후보의 우리공화당은 탄핵 직후부터 박근혜 전 대통령의 무죄석방을 주장하며 '친박정당'을 표방해왔다. 윤 후보에게는 전 정권 적폐수사 원죄(原罪)라는 굴레가 덧씌워져 있다. 그 때문에 보수진영 일각의 강성 친박 세력은 여전히 윤 후보를 비토한다. 이 후보의 조 후보에 대한 구애가 친박 표심을 잡아 윤 후보의 입지를 좁히겠다는 포석으로 읽히는 이유다.

이 후보는 지난달 27일 '정치개혁, 말이 아닌 실천으로 함께하겠습니다'라는 제하의 글에서 "정치교체와 연합정치를 위한 '국민통합 정치개혁안'과 위성정당 방지법, 기초의원 중대선거구제 추진계획 등이 민주당 당론으로 채택됐다"며 "세부적으로는 국무총리 국회추천제와 여야정 정책협력위원회, 초당적 국가안보회의, 다당제 구현, 개헌논의 등 구체적인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제3지대 군소정당과도 연대할 수 있는 '다당제 통합정부론'을 이재명표 정치개혁의 골자로 삼은 것이다.

반면 조 후보는 이 후보의 연대 제의에 냉랭한 반응을 보인 상태다. 그는 지난달 28일 오전 경기도 남양주 마석우리 5일장 유세에서 "이재명 후보는 국민을 속이는 정치개혁안을 내놓고 자신의 잘못과 비리를 감출려고 하고 있다"며 "부정부패 세력의 몸통인 이재명 후보는 정치개혁을 논하기 전에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진정성 있는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