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사회가 코로나 후유증에 시달리는 가운데 식료품-공공요금 등 생계비 증가로 실질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 런던사무소 '영국 위드 코로나 상황 및 경제적 영향' 보고서는 "(영국 경제는) 향후 감염병 전개 양상과 정부 대응에 따라 단기적 변동은 있겠으나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등 여타 요인이 주된 경기 변동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식료품 가격 상승,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공공요금 인상, 사회보장 부담률 인상 등에 의한 생계비 증가를 고려할 때 금년 중 영국의 실질 소득이 전년보다 감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편 전 세계적인 여행 관련 코로나19 규제 완화로 런던 지역을 비롯한 영국의 관광산업이 점차 회복되겠으나, 2025년까지 코로나 이전 수준에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부연했다.
보고서는 "최근 영국 정부는 코로나19와 관련해 남아있던 법적 규제를 철폐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 전후 시행했던 이동 제한 조치(플랜 B)를 해제(1.27일)하고, 확진자의 자가격리 의무를 폐지한 데 이어(2.24일), 최근에는 백신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입국 전후 코로나 검사 의무를 폐지(3.18일)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영국 경제는 지난해 말 이동 제한 조치 재강화(플랜 B) 등으로 GDP 성장률(전월 대비)이 감소(21.12월 –0.2%)했으나 금년 초 경제 활동 재개로 소비가 늘어나면서 다시 회복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라며 "소매 판매 증가율(전월 대비)은 지난해 12월 3.6% 감소했으나, 금년 1월에는 1.9% 증가로 전환됐다. 2월에는 전월 대비 0.3% 감소했으나, 이는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구매력 저하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