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SBS 캡처

최근 발표된 국제금융센터 '프랑스 대선의 르펜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 대통령 선거가 결선투표까지 이어지며 치열한 접전을 보이는 가운데 국가의 금융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또한 이어지고 있다.

보고서는 "프랑스 대선 1차 투표 결과(지난 10일 현지 시각), 마크롱 현 대통령(27.4%)과 극우진영 르펜 후보(24.0%)가 결선(오는 24일 예정)에 진출하며 오차범위 내 접전이 예상됨에 따라, 르펜 당선 시의 위험 요인들을 점검하게 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3월 중순까지 마크롱 대통령의 압승 전망이 우세했으나 민생 안정 공약을 내세운 르펜의 지지율이 최근 급상승하며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며 "아직까지 마크롱(51.5%)이 르펜(48.5%)에 앞서고 있으나, 격차는 대부분 조사에서 1~3%p 내(2017년 결선 득표율: 마크롱 66%, 르펜 34%)로 축소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르펜은 기존 강경 극우 노선에서 한발 물러나 구매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경제 정책으로 청년, 서민층 표심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며 "르펜 당선 시 현 마크롱 정부의 대내외 정책 기조의 상당한 변화가 예상돼, 유럽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르펜 당선 시 대(對)러시아 정책 등에서 EU(유럽연합) 결속력이 약화되고 국내적으로는 재정적자 확대, 반(反)이민 정책 강화 등이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로는 프렉시트(Frexit)가 다시 논란이 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세금 경감 및 서민층 복지 지출 확대 공약을 뒷받침할 만한 예산 조달 계획이 미흡해 재정적자(2021년 GDP 대비 -8.9%), 정부부채(115.8%) 확대가 불가피해진다"며 "에너지 부가가치세 인하(20%→5.5%), 30세 미만 청년층 소득세 면제, 생필품 부가가치세 면제 등 다수 포퓰리즘 정책의 재원을 반이민 조치(€160억)로 조달한다는 계획이나 현실성이 불투명하다"고 꼬집었다.


보고서는 "마크롱이 재선되더라도 6월 총선에서 고전할 가능성이 높아 프렉시트 등 반EU 논란은 향후 정국에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르펜 당선 시 유로화는 2016년 수준인 최대 1.03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으며, 6월 총선에서도 집권당이 될 경우 달러 Parity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Nomura)이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르펜의 지지율이 상승할수록 프랑스의 대내외 정책 변화 가능성으로, 유로존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