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직접 일자리를 1분기에는 92만 명 이상, 상반기 100만 명 수준을 목표로 신속히 집행하기로 했다.
15일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서울고용노동청에서 개최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TF 3차 회의에서 각 부처 일자리사업 추진실적과 신속 집행계획을 점검하고 빈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고용노동부·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우선 지난 1월 취업자 수 증가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축소된 상황에서 2월 이후 이후 고용상황은 전년도 기저효과, 경기둔화 등으로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일자리 사업을 보다 밀착 관리하기로 했다. 이에 신산업 직업훈련과 청년 일경험 지원,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고용서비스를 통해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에 집중해 고용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다.
현재 고용둔화가 전망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에서는 미충원 인원이 18만 5000명에 달한다. 업종별로는 운수창고업(51.4%), 제조업(28.7%), 정보통신업(23.7%) 순으로 미충원율이 높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사업체의 미충원 인원이 17만 3000명으로, 전체의 93.7%를 차지한다. 지역별로는 경남(18.8%), 제주(17.6%), 충남(17.5%), 충북(17.4%) 순으로 미충원율이 높다.
이 같은 미스매치는 최근의 환경변화에 따른 일시적 요인에 기인한다. 정부는 향후 관계부처 합동으로 빈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