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8일 진행된 Sunny Scholar research stage에서 발표 중인 써니. 사진=SK행복나눔재단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는 지난 8일 Sunny Scholar 활동자들이 분석하고 정의한 시각장애, 발달장애, 이주노동자 및 시니어 문제 분석안을 공유했다고 11일 밝혔다. Sunny Scholar는 대학생이 사회 변화 활동에 참여하는 ‘경험’의 단계를 넘어, 직접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만드는 ‘주체자’의 단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으로, 사회 문제 분석 및 정의 과정에 집중할 수 있는 육성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올해 2기를 맞은 Sunny Scholar는 론칭 첫해인 2022년부터 의미 있는 결실을 냈다. 총 4팀(14명)이 고안한 4개의 솔루션 가운데 ‘TEAM.민들레’의 이주노동자 사업장 변경의 어려움을 정보 제공으로 해결하는 커뮤니티 서비스가 ‘2022년 소셜벤처경연대회’ 대학생 부문에서 대상을 받았다.

Sunny Scholar 2기는 8개월간 총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현재 사회 문제 분석 및 정의에 몰두하는 첫 번째 과정을 마쳤다. 해당 과정에서는 시스템 매핑 방식을 사용해 문제의 인과지도를 그리고 문제 해결의 시발점이 될 수 있는 ‘개입 지점’을 발굴하는 것에 집중했다. 이를 위해 관련 사회 문제 당사자, 이해관계자들을 만나 인터뷰 등을 진행하며 ‘진짜 문제’에 가까워지려 노력했다.

공유회 날 총 6팀으로 구성된 활동자들은 △20대 가족 돌봄 청년의 ‘인적 자원’ 형성의 어려움 △50세~65세 중장년 일자리 문제 △노인 일자리 사업 내 시장형 사업단 참여 노인의 취업 지속성 문제 △이주노동자의 건강권 △발달장애아동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부모가 겪는 어려움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의 운동량 부족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공유했다. 조신회 행복나눔재단 써니루키팀 매니저는 “Sunny Scholar는 솔루션을 제작하는 것보다는 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는 진짜 문제를 발굴하고 개입 지점을 세밀하게 포착하는 것에 집중하는 프로그램”이라며 “사회 문제에 세밀하게 들어갈수록 마주하는 막막함과 복잡함을 잘 이겨내고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도록 잘 이끌어갈 것”이라고 말했다.